4년간 2046만건 전국 2위'
서울과 전체 약 99% 차지

▲ 사진:클립아트코리아
▲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겨냥한 해킹 시도가 최근 4년간 4788만 건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격 양상은 더욱 정교해지고 해외 발원 비율도 늘어나면서, 지방 행정망의 보안 취약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국회의원(대전 대덕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이 전국 지자체로부터 제출받은 '해킹 시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7월까지 모두 4788만여 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2022년 800만여 건, 2023년 942만여 건, 2024년 1158만여 건, 올해 7월까지 1887만여 건으로 매년 증가세가 뚜렷했다.

같은 기간 개인정보 유출이나 전산망 마비 등 실제 피해 사례는 15건으로 집계됐다. 비록 수치는 적지만, 한 번의 사고로도 공공정보가 유출될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2730만 건)과 충남(2046만 건)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으며, 두 지역만 합쳐 전체의 99%에 이르렀다. 대부분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의 보안 상황을 통합 관제하고 있으나, 공격 빈도는 계속 늘고 있다.

공격자 IP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7월까지 해외에서 발생한 해킹 시도가 국내보다 약 11배 많았다. 주요 발원지는 중국, 러시아, 동남아 지역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서비스거부(491만 건), 정보수집(344만 건), 시스템 권한획득(146만 건), 정보유출(65만 건), 홈페이지 변조(52만 건), 악성코드(51만 건), 비인가 접근(6만 건) 순이었다. 특히 강원도의 경우 2022년 이후 12건의 사고가 보고돼 가장 많은 피해를 기록했다.

박정현 의원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계속 늘고 있는 것은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기술 대응을 강화하고 인력과 예산을 확보해 보다 체계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 지자체의 사이버침해대응센터 인력은 180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은 "지자체의 정보보호 체계는 행정의 신뢰를 지키는 최소한의 기반"이라며 "정부와 지방이 협력해 실질적인 방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