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커리 산업 활성화 실현…역대 최대 29만여명 방문
-체험·문화·관광 융합한 대한민국 대표 빵 축제로 성장



 

 

'원조 빵 축제'로 자리 잡은 2025 빵빵데이 천안이 19일 이틀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천안시는 18일 개막한 이번 축제에 29만명의 방문객이 몰리며 '대한민국 대표 빵 축제'로서의 위상을 다시금 입증했다.

 

 

'빵의 도시 천안'을 슬로건으로 내건 이번 행사는 천안시와 (사)대한제과협회 천안시지부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지역 농축산물을 원재료로 한 건강한 빵을 선보이며 지역 경제와 베이커리 산업의 상생을 도모했다.

특히 올해는 단순한 판매 중심 축제를 넘어 빵·체험·문화·관광이 어우러진 복합문화형 축제로 확대됐다. '지역과 연대하고 상생하는 빵 축제'라는 기조 아래, 제과업계·농업인·기업·대학·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을 제시했다.

 

 

올해 '빵빵데이'에는 총 51개 동네빵집이 참여해 개성 있는 대표 빵과 함께 쌀·호두·포도 등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건강한 제품을 선보였다.

모든 참여업소가 가격표시제를 의무 시행하고 시중가보다 10% 이상 저렴하게 판매해 시민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였다. 이틀간 각 부스마다 구매 행렬이 이어졌으며, 대부분 매장이 준비한 물량을 '완판'했다.

 

 

남양유업·농심·신세계푸드·삼육식품·빙그레 등 7개 기업이 참여한 기업부스에서는 지역 원유로 만든 우유 증정, 시식 이벤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또 농산물 판매장에서는 쌀·호두·포도 등 15개 품목이 판매되며 지역 농가의 소득 증대와 산업 간 연계 확대에 기여했다.

 

 

올해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는 프로그램이 대폭 확대돼 '참여형 축제'로 진화했다는 평가다.

총 8개의 체험부스에서는 '호두과자 굽기', '구운 도넛 만들기', '백석문화대학과 함께하는 컵케이크 만들기' 등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체험이 마련됐다.

 

 

특히 '세계 빵 만들기 체험존'이 큰 인기를 끌었다. 프랑스 잠봉뵈르, 이탈리아 포카치아, 중국 월병, 베트남 반미 등 3개국 제과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행사장 내 긴 줄을 형성할 만큼 호응이 높았다.

시는 내년부터 해외 제과문화 체험을 확대해 '빵의 도시 천안'의 세계화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축제 기간 3,000여 명이 사전 및 현장 접수를 통해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했다.

또한 '베이커리 작품·실용빵 전시존'에서는 지역 제과기술인들의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지역 농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제빵작품을 전시하며 천안 빵의 수준과 창의성을 보여줬다.

'빵빵데이 천안'은 빵뿐 아니라 음악·공연·관광이 어우러진 융합형 축제로 자리 잡았다.

 

 

축제 기간 가수 김필, 노브레인의 축하공연과 지역 예술인 버스킹, 어린이 뮤지컬 등이 무대를 장식했고 '가을빵음악회'와 '드론라이트쇼'가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팡팡브레드퀴즈쇼', '빵빵 사진관' 등 가족 단위 방문객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됐다.

 

 

방문객들은 SNS에 후기를 올리며 자연스럽게 축제 홍보대사가 됐다.

'2025~2026 천안 방문의 해'를 맞아 천안시는 독립기념관 일원에서 열린 '천안 꽈자런 2025' 참가자와의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충남문화관광재단과 협력해 '빵빵데이.병천순대축제 투어버스'를 운행해 지역 관광 활성화를 이끌었다.

시는 올해 축제를 통해 '고품질·건강한 빵'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고, 지역 베이커리 산업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지역산업 간 연계 확대를 통해 축제가 일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 가능한 경제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부시장)은 "빵빵데이는 단순한 소비형 축제가 아닌 시민·기업·농업인·대학이 함께 상생하고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대표 융합축제"며 "앞으로도 건강한 빵을 중심으로 천안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전국을 넘어 세계로 확산되는 축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천안=김병한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