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위한 선제적 산불 관리 강조
데이터 기반 안전정책 제시, 의정 리더십 부각
"주민의 생명을 지키는 과학행정, 유성구가 앞장서야"
점점 길어지는 가뭄과 강풍, 예측 불가능한 기후의 흐름 속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대전시 유성구의회 이희래 의원(윤리특별위원장)은 이러한 시대적 과제 속에서 "기후위기 시대, 산불은 더 이상 자연의 일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대응이 필요한 복합재난"이라며 경각심을 환기시켰다.
이 의원은 281회 임시회 구정질문에서 "유성구는 산림과 주거지역이 맞닿아 있어 작은 불씨가 대형 피해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며 "기후변화로 인한 건조일수 증가, 강풍, 인위적 요인이 결합되면서 지역 차원의 대응 전략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제 제기에 그치지 않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내놨다. △기후위기 대응계획 내 산불 관리 전략 반영 △기상데이터 기반 위험지수 분석체계 구축 △주민 대상 예방 교육과 대피훈련 확대 △진화 인력의 안전관리 매뉴얼 강화 △전문 장비·인력 확충 △산불 이후 2차 피해(산사태·수질오염 등) 방지 대책 등 여섯 가지 방향을 제시하며 "현장 중심의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희래 의원은 "산불은 숲의 문제가 아니라 곧 사람의 문제이며, 주민의 생명과 일상이 직결된 재난"이라며 "유성구가 데이터에 기반한 안전행정으로 시민이 신뢰할 수 있는 지방정부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평소에도 '현장형 의정활동'으로 평가받는 의원이다. 환경, 안전, 기후 대응 분야에서 구체적 실행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며 지역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바꿔온 그의 행보는 이번 구정질문을 통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희래 의원의 이번 제안은 정책 질의를 초월해, 기후위기 시대 지방의회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한 메시지로 평가된다. "행정이 과학과 데이터를 품어야 한다"는 그의 철학은 유성구를 비롯해 지역 의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