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지구 상권 침체·미집행 시설 문제 전면 제기
행정의 속도 높여 지역경제 회복 나서야
생활환경 개선과 도시 경쟁력 강화 방안 촉구
유성의 도시가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전시 유성구의회 이희환 의원(사회도시위원장)은 281회 임시회에서 구정질문을 통해 송강지구의 개발 정체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며, 구의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 의원은 "송강지구 지구단위계획이 고시된 지 수십 년이 지났지만, 도시의 구조는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 공동개발 지역에서 용도 완화가 이뤄졌지만, 단독주택용지의 주거 외 용도 확대나 대규모 필지의 준주거지 전환, 지하층 용도 완화 등은 여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미 2019년 정례회에서 계획 변경 촉구 건의안이 가결된 바 있음에도, 그로부터 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지역상권은 활력을 잃은 채 정체돼 있다"며 "근린생활시설이 점점 비어가고 있는 현실을 더는 외면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현황과 집행 방향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대책을 주문했다. "현재 유성구 내 미집행 시설은 119개소로, 이 중 114개는 도로, 5개는 주차장이다. 예산 확보와 우선순위 설정, 단계별 추진 계획이 명확히 수립돼야 한다"고 지적하며, "관평동 묵마을에서 전민동으로 이어지는 도로 구간(544m)의 사업이 일몰제 폐지 이후에도 추진되지 않고 있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주민 생활환경 개선의 관점에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하수관로 정비 이후에도 잔존 정화조가 남아 있는 실정"이라며 "미연결 건물의 하수처리 실태를 점검하고, 폐쇄·관리 계획을 수립해 주민 위생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송강지구 상권 회복과 장기미집행 시설의 신속한 추진은 단지 행정 과제가 아니라 지역경제의 생명선"이라며 "유성구가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실질적인 변화와 구체적인 성과로 주민들에게 신뢰를 보여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