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람의 조화로 '스마트 휴먼시티 유성' 기반 마련
체육인권·달리기문화·AI행정 등 생활 밀착형 정책 강화
구민이 변화를 체감하는 진짜 행정 실현

▲ 이명숙 의원
▲ 이명숙 의원

미래 행정의 방향을 '사람 중심의 기술 융합'으로 잡은 유성구의회 이명숙 의원(의회운영위원장)이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 의원은 21일 열린 281회 임시회 1차 행정자치위원회에서 '유성구 인공지능 기본 조례안', '유성구 체육인 인권 보호·증진 조례안', '유성구 달리기 활성화·지원 조례안' 등 3건을 대표 발의하며, 기술·인권·건강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행정 모델을 제안했다.

이번 조례안은 구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끌기 위해 고안됐다.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행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공공분야에서의 윤리적 활용을 제도화하고, 체육인의 인권을 보호하며, 일상 속 건강문화를 확산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유성구 인공지능 기본 조례안'은 AI 기술을 행정에 도입하되, 투명성과 윤리성을 중심 가치로 두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AI 종합계획·실행계획 수립 △공익 중심 AI 행정서비스 운영 △AI 인재양성·교육 확대 △민·관·학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이 포함됐다. 이 조례가 시행되면 유성구는 공공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인간 중심의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성구 체육인 인권 보호·증진 조례안'은 체육계의 건강한 환경 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조례에는 체육인 인권헌장 제정, 인권침해 예방교육, 신고·상담센터 운영, 관계기관 협력체계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겨 있으며, 이는 스포츠 현장의 문화 개선과 체육인의 권익 향상을 이끌 제도적 장치로 평가된다.

 

또 '유성구 달리기 활성화·지원 조례안'은 구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건강한 달리기 문화를 조성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달리기 코스 개발과 관리, 달리기 축제 및 대회 개최, 안전한 주행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유성구는 '걷고 뛰는 건강 도시'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명숙 의원은 "기술이 사람을 위한 방향으로 작동해야 진정한 혁신이 완성된다"며 "AI 행정과 체육 인권, 생활체육 진흥을 통해 구민이 변화를 실감하는 유성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례안 발의는 유성구가 디지털 전환 시대 속에서도 인간 중심의 가치를 지켜내며,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