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안전은 지역의 품격…정책토론회 주도
교육·치안·법조계·학생 등 참여… 해법 제시
학교 폭력, 지역 공동체의 연대와 제도로 풀어야
'학교 안심도시 서구' 향한 협력의 발판 마련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사회의 신뢰를 가늠하는 문제로 학교 안전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대전시 서구의회 최지연 의원(더불어민주당, 가수원동·도안동·관저1·2동·기성동)은 22일 의회 간담회장에서 '학교 안전이 곧 지역 안전이다'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열어 교육, 치안, 법조계, 학부모, 학생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한자리에 모았다.
토론회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잇는 협력의 장으로, 모두가 아이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는 공감대를 새롭게 확산시켰다. 현장에는 조규식 의장을 비롯해 서철모 구청장, 대전서부교육지원청 관계자, 학교운영위원장, 학부모, 학생 등 6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최 의원은 "학교의 안전은 지역 공동체의 품격을 결정짓는 잣대이며, 아이들이 행복해야 지역의 미래도 밝다"며 "교육청과 지자체, 경찰, 시민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때 비로소 지속 가능한 안전 체계가 완성된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논의된 과제들이 말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의회가 제도적 기반을 적극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토론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 현실적 해법을 제시했다. 이준헌 변호사는 "학교폭력 예방은 교육기관만의 몫이 아니다"라며 "지방정부가 예방 교육, 심리상담, 피해자 보호, 가해자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전서부경찰서 고광표 경사는 "학교폭력은 사회 전반의 불균형이 드러나는 신호"라며 "예방과 대응, 회복이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지역형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같은 경찰서 김대현 경사는 "학교 주변 순찰 강화와 지자체 협력 치안체계 구축을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교육계의 시선도 이어졌다. 대전서부교육지원청 나상우 장학사는 학교·경찰·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통합 대응 시스템과 관계 회복 중심 교육의 제도화를 제안했다. 관저고등학교 최미소 학생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해 안전 문화를 만들어가는 구조가 필요하다"며 "익명 신고 시스템 개선과 전문 상담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최지연 의원은 "학교 폭력은 교실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가치와 신뢰를 반영하는 지표"라며 "서구가 학생들이 안심하고 배우며 성장할 수 있는 교육 중심 도시로 발전하도록 정책적 토대를 튼튼히 다지겠다"고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학교의 안전이 곧 지역의 미래'라는 문구가 담긴 공동선언문을 함께 낭독하며, 서구를 아이들이 가장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학교 안심도시'로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