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절차 마무리 총력… 시·상인회 협력 절실
지상 공원형 전환 후 갈등 지속
상권과 행정이 함께 숨 쉬는 공간으로

대흥동의 좁은 골목길마다 차량이 얽히고 시민들의 발길이 끊기던 원도심 한복판에, 새로운 변화의 기류가 흐르고 있다.

중구가 추진 중인 '상생주차장 조성사업'이 2026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다시 본격화되면서, 침체된 상권 회복의 신호탄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전시 중구는 23일 문화경제국장 주재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상생주차장 사업의 현황과 향후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구는 올해 안에 모든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기는 어렵지만, 2026년 상반기까지 중소벤처기업부의 사업변경 승인과 설계용역, 지장물 보상 등을 완료해 하반기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사업은 애초 지하상가와 직접 연결되는 '지하 주차장'으로 추진됐지만, 대전시가 지난해 말 부지를 '대흥어린이공원 지상부지'로 변경하면서 일정이 꼬였다.

대전시는 중기부에 사업기간 연장을 요청했으나, 중기부는 새로운 타당성조사와 상인 동의 절차를 추가 요구했다. 결국 사업은 전면 재검토에 들어갔고, 행정절차는 사실상 처음부터 다시 시작됐다.

현재 타당성조사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지만, 상인 동의 확보가 마지막 고비로 남아 있다. 지하상가 상인회는 접근성 저하를 우려하며 "지하와 연결되지 않는 주차장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며 에스컬레이터 설치, 상권 활성화 대책, 운영권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김제선 구청장은 지난 9월 이장우 대전시장에게 "원도심 상권은 주차장 하나로도 회생의 기회를 만들 수 있다"며 "지하상가 접근성을 높이는 에스컬레이터 설치가 필수"라고 직접 건의했다.

김 청장은 "이 사업은 주차 공간 확보에 그치지 않고, 상권과 행정이 조화롭게 이어지는 도시 구조를 만드는 첫걸음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구 관계자도 "사업 부지 변경 이후 타당성조사와 건축심의,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 행정 절차를 모두 새로 밟아야 했다"며 "구에서도 상인 설득에 나서고 있지만, 시 차원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중기부 승인을 받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상생주차장은 원도심의 만성적인 주차난을 해소하는 동시에, 침체된 상권의 회복과 지역주민의 생활 편의를 함께 잡는 '공공형 거점시설'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구는 "상생주차장은 행정기관만의 과제가 아니라 시민 모두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라며 "시와 구, 상인, 주민이 머리를 맞대야 진정한 상생이 완성된다"고 밝혔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