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참여하는 '정책 실행형 거버넌스' 구축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미래도시 전략 시동
행정·전문가·주민이 함께 만드는 동구형 모델
목표 16개·과제 37개, 평가·환류 체계 마련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들 모습. 사진 중앙 우측 빅희조 동구청장
▲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들 모습. 사진 중앙 우측 빅희조 동구청장

대전시 동구가 행정과 시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협치형 도시 거버넌스를 출범시키며 '시민 중심 정책 실행 체계'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구는 23일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위촉식과 함께 첫 회의를 진행했다.

위원회는 지난 3월 제정된 '동구 지속가능발전 기본조례'를 근거로 구성된 법정 기구로, 위원회는 정책의 수립부터 실행, 평가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관리 역할을 맡는다. 행정의 방향을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논의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이 정책으로 반영되는 구조를 제도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사회·경제·환경·소통 등 4개 분야의 민간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됐으며, 다양한 세대와 직능단체, 시민사회 대표가 참여해 균형 잡힌 의사결정 구조를 갖췄다. 이날 회의에서는 '20개년 기본전략(안)'과 '5개년 추진계획(안)'을 중심으로 장기 전략과 단기 실행 로드맵이 함께 논의됐다.

동구의 지속가능발전 비전은 '사람이 모이고 활력이 넘치는 도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모두가 행복한 포용도시 △활력을 키우는 경제도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환경도시 △소통과 참여가 살아 있는 도시 등 4대 전략을 마련했다. 또 16개 목표와 37개 핵심 과제, 50개 세부지표를 기반으로 정책 이행 수준을 평가하고 발전 방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성과 관리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 전환, 지역경제 선순환, 주민참여예산 확대, 복지 강화 등 실행 중심의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계획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매년 성과를 점검하고 시민의 의견을 정책 개선에 반영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박희조 동구청장은 "지속가능발전위원회는 행정과 시민이 함께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는 협력의 장이자 실천 중심의 거버넌스 조직이 될 것"이라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위해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