획일적 지원사업 탈피·시장별 맞춤형 브랜드 필요
청년창업·상인 협업, 세대융합형 상권 조성 제안
전통시장은 경제이자 문화…지역 뿌리 되살려야

▲ 강정규 동구의회 부의장이 289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전환의 필요성과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 강정규 동구의회 부의장이 289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전환의 필요성과 시장별 맞춤형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전통시장은 동구의 경제이자 정체성입니다. 지금 필요한 건 지원이 아니라, 시장이 스스로 살아 숨 쉬는 힘을 되찾는 일입니다."

대전시 동구의회 강정규 부의장이 23일 열린 289회 임시회 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전환을 강하게 촉구했다.

강 의원은 "중앙시장과 중부건어물상점가 등은 오랜 세월 동구의 생활경제를 지탱해온 상징이지만, 행정 중심의 지원 사업이 반복되며 지역 고유의 색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며 "결국 중소벤처기업부의 상권활성화 공모에서도 연이어 탈락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강 의원은 시장별로 뚜렷한 콘셉트와 브랜드 정체성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모든 시장이 비슷한 간판과 비슷한 프로그램으로는 소비자의 발길을 붙잡기 어렵다"며 "시장마다 특색 있는 테마를 만들어, 주민과 방문객이 머물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시장별 콘셉트형 브랜딩 지원체계 마련 △청년창업과 기존 상인의 협업을 통한 세대융합형 상권 모델 구축 △3~5년 단위 중장기 육성 로드맵 수립 등을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제시했다. "시장 활성화는 한 해의 예산으로 끝나는 사업이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는 투자"라며, "지속성과 자율성이 보장된 구조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마지막 발언에서 "전통시장은 거래의 장이 아니라, 세대와 세대가 이어지는 삶의 무대이자 문화의 그릇"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의 고유한 매력을 되살릴 때, 소비가 머무는 체류형 상권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행정이 중심이 아니라 사람 중심의 시장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 동구의회는 강 의원의 제안을 토대로 시장별 특화 전략과 상인 중심의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를 검토할 예정이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