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추위로 난방 수요가 급증하면서 충북 지역의 에너지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폭염으로 치솟은 여름철 전기요금에 이어 난방 전환 시기가 앞당겨지며, 가계와 자영업자 모두 이중고를 호소하고 있다.
청주·충주·제천 등 충북 내륙지역은 최근 아침 최저기온이 5도 안팎까지 떨어지며 체감온도는 0도 가까이 내려갔다. 낮 동안에는 맑고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지만, 일교차가 15도 이상 벌어지면서 가정과 상가 곳곳에서는 보일러를 켜거나 전기난로를 꺼내는 등 본격적인 난방 준비에 들어갔다.
청주 상당구의 한 아파트 관리소장은 “며칠 전까지만 해도 제습기나 냉방기 점검 문의가 대부분이었는데, 지금은 보일러 점검 요청이 하루 수십 건씩 들어온다”며 “입주민 대부분이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난방을 시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관리사무소에는 급탕 공급이나 온수 순환 문제를 문의하는 전화가 하루종일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역시 ‘난방비 폭탄’이다. 식료품·외식비·교통비 등 생활물가가 좀처럼 안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전기·가스·난방유 등 에너지 요금까지 더해지며 도민들의 체감 부담이 한층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겨울 ‘난방비 대란’을 경험했던 서민층은 벌써부터 지갑을 걱정하고 있다.
청주 복대동의 한 주민은 “냉방기를 끄자마자 보일러를 켜야 하는 현실이 참 씁쓸하다”며 “계절이 바뀌어도 지출은 줄지 않고 오히려 더 늘어나는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청원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씨도 “하루 종일 가게 문을 열면 난방을 안 할 수가 없다. 여름엔 전기요금, 겨울엔 난방비로 허리가 휜다”고 하소연했다.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난방비 지원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오는 11월 23일까지 ‘사랑 ON(溫) 난방비’ 사업 신청을 받는다. 이 사업은 저소득층 가구, 사회복지시설, 지역아동센터 등을 대상으로 난방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06년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약 5400여 가구와 1700여 개 기관에 총 65억원 규모의 난방비를 지원했다.
지자체 또한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확대를 위해 지자체 차원의 연료비·전기요금 지원을 검토하고 있으며, 일부 시·군에서는 긴급복지 예산을 활용한 ‘겨울철 난방 지원사업’을 준비 중이다.
청주지역 환경 전문가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온이 잦아지면서 냉방·난방 에너지 사용량이 늘고 기간이 매년 길어지고 있다”며 “단기적인 지원을 넘어 중장기적 에너지 효율화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재옥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