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48명 참여 '생활 속 복지' 본격화
행정·현장 협력형 복지 거버넌스 구축
주민이 체감하는 복지, 현장부터 시작
복지의 무게 중심이 '행정'에서 '현장'으로 옮겨가고 있다.
대전시 중구가 지역의 복지정책을 새롭게 설계할 11기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공식 출범시키며, 주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복지공동체의 문을 열었다.
지난 10월 31일 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위촉식에는 복지, 보건, 교육, 고용, 자원봉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48명이 참석해 대표협의체 30명, 실무협의체 18명으로 구성된 새로운 협의체의 출범을 알렸다. 이번 협의체는 지역 복지의 방향을 정하고 실행력을 높이는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새롭게 구성된 협의체는 형식적인 자문 역할을 벗어나, 지역의 문제를 직접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설계하는 '실행형 네트워크'로 운영된다.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과 평가 △복지정책 방향 설정 △사회보장 서비스 심의 △민관 협력체계 강화 등 복지 전반에 걸친 실질적 변화를 추진한다.
위촉식 이후에는 '2026년 지역사회보장계획 연차별 시행계획'을 점검하는 모니터링 회의가 이어졌다. 위원들은 기존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세부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
김제선 중구청장은 "복지는 누군가를 돕는 일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일"이라며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행정과 주민, 기관과 현장을 잇는 연결고리로서 중구형 복지 모델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구는 협의체의 전문성과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형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