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중 해소·지방 자율권 확대… 충청권 결의
충청이 이끄는 균형발전의 새로운 질서
국회 포럼서 '대전충남특별시' 구상 본격화
준연방 지방정부 실현해 충청이 국가의 엔진
대한민국의 행정지도가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
'대전충남특별시 설치·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 국회에 발의되면서, 충청권이 스스로 미래의 국가축을 설계하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3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전충남 행정통합 국회 포럼'은 성일종 국방위원장과 장동혁 당 대표, TJB가 공동 주최하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공동 주관했다.
행사장에는 성일종 위원장과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 등 350여 명이 참석했으며, 구자근, 김기현, 김미애, 김민전, 박대출, 서천호, 인요한, 유용원, 진종오, 김태호 의원 등이 자리를 함께하며 대전충남 통합 논의에 힘을 보탰다.
이날 포럼은 환영사, 축사, 기조강연,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행정통합이 행정 구조의 단편적 조정이 아니라, 지방의 자율과 국가의 재편을 이끌 전략적 과제라는 점에 뜻을 모았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축사에서 "이번 행정통합은 수도권 중심 구조를 바로잡고, 충청권의 경쟁력을 국가 성장의 동력으로 만드는 결정적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특별법이 통과되면 중앙정부로부터 권한과 재정이 대폭 이양돼, 준연방 수준의 지방정부가 실현될 것"이라며 "충청권이 진정한 지역 주도의 발전 모델로 거듭나도록 대전이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지금은 충청이 스스로 변화를 이끌어야 할 시기"라며 "특별법이 신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정치권과 국민 모두의 지혜가 모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성일종 위원장은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국가 균형발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새로운 분권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기조강연은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이 맡아 '국가 균형발전과 충청권의 실천'을 주제로 발표했다. 정 위원장은 행정안전부와 충남도 재직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주도형 행정체계와 정책 실현 방안을 제시했다.
이창기 공동위원장이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홍준현 중앙대 교수, 전성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센터장, 고승희 충남연구원 연구실장, 이수복 TJB 기자가 패널로 참여해, 대전충남특별시가 '5극 3특' 국가균형발전 전략 속에서 어떤 역할을 담당할지 논의했다.
행정통합 특별법이 올해 12월 국회를 통과하면 '대전충남특별시'는 2026년 7월 공식 출범하게 된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여야 국회의원과 협력해 국민적 공감대를 넓히고, 법안 통과를 위한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충청이 스스로 중심이 되어 대한민국의 구조를 새롭게 짜야 한다"며 "대전이 국가 균형발전의 중심에서 실질적 변화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