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사망자 두 배 급증에 대응
10개 기관 모여 실무협의회 개최
고령운전자·취약지역 중심 예방대책 강화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도시로" 협력 강화 선언
대전이 교통안전의 경고등을 켰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불과 1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나자, 시는 현장의 문제를 정면으로 마주하기 위해 유관기관을 한자리에 불러 모았다.
대전시는 5일 시청 5층 창의실에서 '2025 하반기 지역교통안전 실무협의회'를 열고, 기관 간 공조를 통한 교통사고 예방대책을 집중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전시 교통시설과, 교통정책과, 자치경찰위원회를 비롯해 5개 구 교통부서, 대전경찰청, 대전시교육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교통공단 등 10개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는 개회·참석자 소개를 시작으로 교통사고 예방대책과 기관별 중점 추진 과제를 공유하고, 마무리 발언 후 폐회 순으로 진행됐다. 논의의 중심에는 최근 급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있었다. 올해 10월 13일 기준 대전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52명으로, 지난 2024년 같은 기간 26명 대비 정확히 100% 증가했다. 숫자로만 볼 수 없는, 시민의 생명과 맞닿은 위기였다.
참석자들은 사고 다발 지역을 집중 관리하고, 특히 고령운전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고령층의 운전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과 운전적성검사 확대, 교차로 시야 확보 사업, 횡단보도 조명 보강 등이 주요 논의 과제로 다뤄졌다.
또 교통안전 취약지역에 대한 합동점검과 야간 시인성 개선사업, 어린이보호구역 내 무인단속장비 확충, 교통사고 다발 교차로 개선 등 실질적인 대응 방안이 제시됐다. 각 기관은 향후 협업을 통해 현장 중심의 교통안전 체계를 구축하고, 시민이 실질적으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실행에 나서기로 했다.
정대수 교통시설과장은 "교통안전은 한 기관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대전시는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시민이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는 도시, 사고로부터 자유로운 교통 환경을 만드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대전시는 '시민이 체감하는 교통안전정책'을 본격화한다. 단속과 계도에 머무르지 않고, 예방 중심의 인프라 개선과 고령자 교통복지 확대를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마련해 '안전한 도시 대전'으로 나아갈 방침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