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교육청, 파업 장기화 도시락비 지원
학생 영양 불균형 해소 위해 급식 공백 최소화
"한 끼의 공백도 없도록… 학생 건강이 우선"

공무직 노조 파업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학교 급식이 멈췄지만, 대전시교육청이 학생의 식탁을 지키기 위해 긴급 대책을 내놨다.

대전시교육청은 5일, 급식이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유치원과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기성품 도시락 구입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9월 30일부터 이어진 공무직 노조 파업으로 학생들의 영양 공급이 불안정해진 상황에 따른 긴급 대응이다.

지원 금액은 급식 중단 일수에 따라 차등 적용된다. 5일 미만은 유·초등학교 6800원, 중·고등학교 8000원이 지원되며, 5일 이상 급식이 중단될 경우 학교급과 무관하게 1식당 1만2000원까지 지원된다. 이는 무상급식비 범위 내 대체식만으로는 학교급식법상 영양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지적을 반영한 결정이다.

교육청은 도시락 구입비 지원과 함께 학생 영양관리와 식품 안전을 강화하는 종합 대응책도 함께 내놨다. 각 학교에는 대체식 메뉴 구성에 대한 영양 컨설팅을 지원하고, 위생·안전 점검과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도시락 검식과 보존식 관리 지침도 세분화해 식중독 등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설동호 교육감은 "학생의 건강과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균형 잡힌 영양이 공급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덧붙였다.

대전시교육청은 이번 도시락 지원 대책을 '학생 급식 공백 최소화 종합 대응안'으로 보고, 파업 장기화에도 안정적인 급식 대체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 관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임시방편적 조치에 그치지 말고, 근본적인 급식 인력 운영과 노사 갈등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이번 지원은 학생의 한 끼를 지키기 위한 긴급 대응인 동시에, 교육행정이 사회 갈등 속에서도 학생의 기본권을 어떻게 보장할지 묻는 시험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