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제도 시행 앞두고 실무 중심 교육 진행
행정·복지·시민이 함께 배우는 통합 돌봄
주민이 머무는 곳이 곧 돌봄의 현장
돌봄은 행정이 아닌 일상 속 공공책임

누군가의 손길이 필요한 순간, 행정의 경계는 더 이상 나뉘지 않는다.

대전시 동구가 의료·요양·돌봄을 하나로 엮은 새로운 돌봄 패러다임을 향해 발걸음을 내디뎠다.

6일 동구청 대회의실에서는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 역량강화 교육'이 열렸다. 교육은 오는 2026년 3월 전국 시행을 앞둔 통합돌봄 제도의 본격 도입에 앞서, 행정 실무자와 복지기관, 주민이 함께 제도의 핵심을 이해하고 현장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자리였다. 150여 명이 참여한 현장은, '정책 교육'이 아니라 '돌봄이 살아 있는 수업'으로 채워졌다.

강단에는 송우용 유성구 사회돌봄과 팀장과 김명숙 국민건강보험공단 대전동부지사 팀장이 나서 △의료와 돌봄의 연계 구조 △민관 협력의 실제 운영 사례 △통합돌봄이 지역 사회에 가져올 변화 등을 중심으로 강연을 펼쳤다. 복지 현장의 관계자들은 제도의 설계보다 중요한 것은 "사람을 잇는 과정"이라며, 기관 간의 신뢰와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박희조 동구청장은 "고령화는 이미 우리 일상 속에 들어와 있다. 행정은 뒤따라가는 대신 먼저 품어야 한다"며 "이번 교육을 통해 공직과 지역이 함께 배우고 성장하며, 주민이 낯선 시설이 아닌 익숙한 동네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사업은 일상생활이 어려운 주민이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도 의료, 요양, 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지난 2024년 제정된 법률에 따라 오는 2026년 3월 27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