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가 풀어야 할 '디지털 포용'의 과제
기술 변화 속 지역의 책임 확대
디지털 격차 해소, 지방정부의 역할
시민 의견, 정책의 방향으로 이어지다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경계를 넓히는 지금, 지역사회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대전시 서구의회 서다운 의원(더불어민주당·용문·탄방·갈마1·갈마2동)은 6일 의회 간담회장에서 '디지털 포용 시대, 지방정부의 책임과 기회'를 주제로 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AI 전환기 속 지역의 역할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서 의원은 "정부가 새로운 디지털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만큼, 지역사회도 기술 변화의 속도에 발맞춰 시민 보호 체계를 세울 책임이 있다"며 "특히 소외 없이 모두가 디지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박범계 국회의원을 비롯해 구의원, 시민단체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발제를 맡은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맹수석 명예교수는 디지털 포용법의 의미를 짚으며 "디지털 환경에서의 평등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본권"이라며 "지방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책과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현장의 목소리가 다채롭게 이어졌다. 조강숙 시민기자와 민순옥 탄방길작은도서관 관장, 남영시 서구노인복지관 사무국장, 오승상 서구청 홍보담당관은 디지털 접근성 부족이 일상에서 어떤 문제를 만드는지, 고령층이 온라인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지자체는 어떤 방식으로 빈틈을 메울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서다운 의원은 "디지털 포용은 기술을 다루는 문제가 아니라, 시민의 권리를 지키는 또 하나의 사회 안전망"이라며 "오늘 제시된 의견을 서구의 정책 설계에 적극 반영해 '사람 중심의 디지털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