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공공기관 유치전 본격 가동
혁신도시 경쟁력 재정비
범시민 참여 전략 강화
대전시가 정부의 두 번째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향한 전략적 움직임에 시동을 걸었다.
행정의 표준 절차를 따르는 대신, 도시의 미래를 여는 장기 설계에 가까운 로드맵을 펼치며 유치전을 선제적으로 끌어올렸다.
이번 대응 조직인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TF'는 행정자치국장을 중심으로 우선 꾸려졌고, 12월부터는 실장급이 전면에 서는 확장 체계로 전환될 예정이다. 균형발전과, 도시재생과, 도시정비과, 전략산업정책과, 정책기획관, 대외협력본부, 대변인 등 관련 조직이 유기적으로 맞물리고, 대전연구원이 참여해 공공기관 이전 대응을 전담한다.
TF는 먼저 유치 대상 기관을 다시 정렬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기존 39개 기관 목록을 다시 들여다보고, 수도권에 자리한 이전 가능 기관들을 산업 구조, 지역 특성,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재선별해 전략적 타깃팅을 진행한다. 대전의 산업 구조와 긴밀히 이어지며 새로운 성장축을 형성할 기관들을 중심으로 목록을 다시 짜는 과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대전시 전체의 공공기관 유치 전략을 새롭게 고도화한다. 어떤 기관을 언제, 어떤 논리로 설득할 것인지, 이전 이후 혁신도시와 시너지를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지 등 실질적인 행동 계획과 로드맵이 함께 그려진다.
시는 기관을 직접 찾아가는 방식도 강화한다. 대전 혁신도시의 입지 조건, 정주 환경, 교통망, 산업 기반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전 의사를 가진 기관과는 업무협약을 체결해 향후 정부와 국회를 설득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이는 '준비된 도시'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시민 인식 확산과 대외 홍보도 한층 강화된다. 시는 홈페이지, SNS, 언론, 방송 등 다양한 창구를 활용해 혁신도시 추진 배경과 기대 효과를 널리 알리고, 지역의 의지를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분명하게 전달할 계획이다. 특히 1차 이전 당시 혁신도시 대상에서 제외돼 시민들이 겪은 상대적 박탈감을 교훈 삼아, 이번에는 지역 정치권과 주민이 함께 목소리를 내는 강력한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
향후 정부의 일정이 구체화되면, 행정, 시민사회, 경제계, 학계 등이 한자리에 모이는 '범시민유치위원회'도 꾸려 공동 대응의 외연을 넓힌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이번 지방 이전은 대전시가 미래 성장축을 새롭게 확보할 결정적 기회이다"라며 "TF를 중심으로 전 부서가 유기적으로 움직여 공공기관 유치와 혁신도시 조성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