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 심사에 한창이다. 

충북의 현안 사업 예산 확보를 위해 도는 물론 여야 정치권도 힘을 모아 사력을 다해야 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5일 예산안 공청회를 시작으로 부별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17일부터는 내년도 예산안의 감·증액을 심사하는 예산안조정소위(예산소위)가 본격적으로 활동한다.

소위 의결을 거친 뒤에는 전체회의를 열어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한다.

2026년도 예산안은 올해보다 8.1% 증가한 728조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이른바 '슈퍼예산'으로 전국 모든 지자체들이 역대급 예산안에 한 푼이라도 더 국비를 가져오기 위한 전쟁을 진행 중이다. 

충북도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올해보다 4977억원 증가한 9조5070억원의 국비를 반영한 상태다.

이번 국회 심사 기간 1700억원 이상의 예산 증액이 목표다. 

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KAIST 부설 AI BIO영재학교 설립 △서울대병원 R&D 임상병원 설립 △미호강(국가하천) 홍수예방사업 △충주댐 수열에너지특화단지 조성 △충북디자인주도 제조혁신센터 구축 등 주요 현안 사업을 중점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충북도는 예산 확보를 위해 지난 10월 말부터 총력전에 들어간 상태다. 

도 서울사무소와 국회에 '국비 확보 캠프'를 차리고 지역 핵심 사업의 국비 확보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도청 실·국장, 팀장 등은 사전 협의가 이뤄진 주요 상임위 또는 지역 국회의원실을 찾아 지역 핵심 현안을 설명하고 예산 반영 필요성을 직접 건의하는 중이다. 

상임위원회와 예결위 심사 일정에 맞춰 핵심 사업의 예산 증액 자료를 지원하는 한편 맞춤형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도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 예산 확보를 위해선 무엇보다 정치권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예산 반영을 위한 국회의원들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선 도청 직원보다는 같은 국회의원들의 설득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여야 간에 어느 정도 대립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현상이다. 

그러나 도민들은 예산 확보에 있어서만큼은 정치권의 일시 휴전과 합심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국회 내외 적으로 여건도 꽤 괜찮다. 

원내 1·2당인 여야 대표가 나란히 충청 출신인 데다 정부 요직에 충청 인사들도 적잖이 배치됐다. 

도가 추가 반영을 위해 노력 중인 예산들은 충북의 미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사업들이다. 

무엇보다 국비 확보가 중요하다. 

충북과 도민들을 위한 정부 예산을 얻기 위해선 여야가 따로 없다. 

도와 정치권이 함께 이심전심 합심해서 총력전에 나서야만 최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충청일보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