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미래 동시에 잡는 예산 편성
미래·생활·안전' 삼축 드라이브
예산안, 삶과 성장의 회복에 방점
전략산업 지원 본격화
도시는 예산으로 말한다. 대전시가 2026년을 향한 재정 방향을 공개하자, 2026년도 도시의 우선순위와 변화의 결이 한눈에 드러났다.
전체 7조582억원 규모. 전년보다 3800억원 넘게 늘어난 수치로, 민생 회복과 미래 경쟁력 강화라는 두 축을 정면으로 겨냥한 편성이다.
일반회계는 5조7394억원, 특별회계는 1조3188억원으로 전체 규모가 균형 있게 확대됐다.
세입 여건이 빠르게 개선된 것은 아니다. 국세 수입 전망이 다소 나아지고 소비 회복 기류가 형성되면서 국가 이전재원이 증가한 것이 기반이 됐다. 그러나 도시철도 2호선 등 대형 사업과 복지 수요 증가가 이어지면서 지방채는 2000억원으로 조정됐다.
예산안의 성격을 규정하는 첫 장면은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과감한 투자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2400억원을 배정하고, 안영생활체육단지 2단계 160억원, 무궤도 트램 68억원, 서남부스포츠타운 53억원 등을 반영했다.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 개설 161억원, 정림중에서 사정교까지 잇는 도로 개설 100억원 등 도시 구조를 다듬는 사업도 속도를 낸다. 재난 대응력 강화를 위해 자연재해 위험 개선지구 정비 158억원, 지방하천 정비 32억원을 포함해 기후 리스크 대비도 놓치지 않았다.
지역경제 회복은 보다 세밀한 접근으로 설계됐다. 초저금리 자금 410억원, 경영회복 136억원, 대전사랑상품권 60억원, 상점가 환경개선 68억원 등 지원 패키지가 촘촘히 배치됐다. 고금리와 비용 압박으로 체력이 약해진 골목상권을 다시 일으키는 데 방점을 찍었다.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대응은 생애주기별로 재편됐다. 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이어지는 지원 체계를 강화하며 양육·보육 분야에 2000억원대 예산을 배분했다. 대전형 양육수당 527억원, 영유아보육료 1319억원, 아이돌봄 236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장애인 지원으로 스마트팜 조성 20억원도 포함됐다.
청년 정책도 확실히 비중을 키웠다.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160억원, 청년월세 지원 144억원, 미래두배 청년통장 40억원,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18억원 등이 실질적 자립 기반을 넓힌다.
고령층을 위한 예산도 두텁다. 노인 무임교통 216억원, 노인일자리 897억원, 기초연금 5631억원, 경로당 지원 127억원을 편성해 안정적 노후를 뒷받침한다.
교육 분야에서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724억원, 글로컬대학지원 150억원을 통해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정주 여건을 개선하려는 흐름이 뚜렷하다.
미래전략산업 투자도 눈에 띈다. 우주, 바이오헬스, 나노반도체, 국방, 양자, 로봇 등 6대 전략 분야에 다양한 사업을 배치했다. 바이오창업원 86억원, 마중물 플라자 79억원, 방산혁신클러스터·로봇드론센터 40억원, 양자팹 구축 20억원, 우주산업 기반 33억원 등이다.
한치흠 기획조정실장은 "제한된 재원을 정확히 필요한 곳에 투입해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예산안은 시의회 심사를 거쳐 12월 15일 최종 확정된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