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이동의 구조 다시 짜야"
교통현안 해결 앞세운 전략행보
확장사업 예산 공백 문제 정면 지적
도시·광역권 이동 구조 재설계 촉발
대전의 핵심 교통축 한가운데에서 정체가 일상화된 서대전~회덕 구간이 국회에서 다시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이 이슈를 공식 의제로 끌어올리고 예산 공백 문제를 전면에 내세운 인물은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다.
도시 교통망이 구조적 병목에 직면한 상황에서 박 의원은 예산 공백 문제를 정면으로 지적하며 사업 추진의 속도를 다시 높였다.
서대전분기점~회덕분기점 19km 구간은 하루 7만대 가까운 차량이 오가는 대전의 대표 정체 구간이다.전체 사업비 3522억원 규모의 확장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지만, 정작 타당성조사·기본설계 예산이 정부안에 누락되며 상황이 꼬였다.
박 의원은 이를 국회 전체회의에서 집중 공격했다. 정부안 제출 시점에 예타가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예산을 비워둔 것은 "지역 교통 핵심 축을 사실상 방치하는 것"이라는 취지였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를 상대로 "올해 심의 단계에서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하며 논의를 이끌었다.
국토교통부 김윤덕 장관이 "해당 구간을 자주 이용한다. 기재부와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답변한 것도, 박 의원의 지속적 압박이 있었기에 나온 반응이다.
박 의원의 문제 제기는 도로 한 곳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 서대전역 복합환승센터 4차 기본계획 반영 △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검토 기간 단축 △ 노후 영구임대주택 에어컨 지원비율 확대 △ 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이자 지원 재개 △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서 대전 혁신도시 우선 배치 등 대전의 교통·도시·주거 전반을 아우르는 요구를 연달아 제기했다.
박 의원은 대전의 구조적 교통 문제를 도로 확장·광역 철도·환승체계·주거 인프라가 맞물린 하나의 네트워크로 보고 있다. 특정 사업만 추진해서는 도시 전체의 이동 효율을 끌어올릴 수 없다는 인식 아래, 국회 차원의 예산 심의를 '통합 교통전략'의 출발점으로 다루고 있다.
그는 "사정교~한밭대교 도로개설 설계비 35억원과 서대전~회덕 구간 설계 예산까지 확보되면 시민 이동성이 크게 나아질 것"이라며 "대전 교통 인프라 확충을 위해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박 의원이 보여준 일련의 움직임은 지역 교통체계를 단편적 사업이 아닌 도시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다루는 접근으로, 대전이 광역권 중심 축으로 재정렬되기 위한 구조적 변화의 시발점이 되고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