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위험 진단 시스템 가동
51개 사업장 점검·514건 위험요인 확인
'중대재해 제로' 향한 선제 대응 본격화

대전시 대덕구가 모든 행정 영역을 '현장 안전 중심 체계'로 다시 세우고 있다.

12일 열린 '2025 대덕구 위험성평가 최종보고회'는 각 사업장의 실질적 위험요인을 정밀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구체화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평가는 고용노동부 지정 전문기관인 ㈜한국안전기술진흥원이 10~11월까지 수행했다.

구청 본청과 산하기관 51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감전 위험, 비품 정리 미흡, 안전수칙 미준수, 유해물질 관리 부적정 등 모두 514건의 유해요인이 확인됐다. 이 가운데 위험 수준이 높은 376건은 즉시 개선 대상으로 분류돼 단계별 조치가 진행 중이다.

구는 점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위험이 발생하는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재발 가능성을 수치로 예측하는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를 마련했다. 사업장별 위험 등급과 우선순위를 산출해 실질적인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정기 모니터링과 연계할 예정이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근로자의 안전은 행정의 출발점이자 지역사회의 기본 가치"라며 "이번 평가를 통해 드러난 문제를 면밀히 보완해 구민과 직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덕구는 2026년부터 사업장 위험요인 자동 분석 시스템을 가동하고, 정기 점검 결과를 토대로 안전지수 공개제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 구민이 직접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참여형 안전 플랫폼을 도입해, 현장과 행정이 함께 움직이는 안전관리 문화를 정착시킬 방침이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