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책·상권 과제 모두 짚어
현장 기반 행정 전환 촉구
도시환경 재설계 필요성 제기
중앙로지하상가 구조 개선 촉구

▲ 이한영 의원
▲ 이한영 의원

12~13일 이틀간 이어진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는 사실상 이한영 의원의 문제 제기와 정책 제안이 흐름을 주도했다.

생활정책 전반, 도시 인프라, 침체된 상권 구조 등 시급한 현안들이 그의 지적 아래 연속적으로 조명되면서, 의정활동의 무게가 한층 선명하게 드러났다.

먼저 12일 열린 복지환경위원회 감사에서 이 의원은 생활 기반 정책의 허점을 가장 먼저 파고들었다.

노루벌 지방정원 조성사업이 중앙투자심사에서 재검토된 점을 두고 "오랜 준비에도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은 전략 설계가 빈틈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지적했다. 이어 비용편익비율(B/C) 0.09라는 결과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다음 심사에서 확실한 보완 전략을 갖출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는 정책의 방향성까지 짚어낸 날카로운 평가였다.

이 의원은 한밭수목원 맨발걷기길 문제를 정확히 꼬집었다. "하루 수천 명이 이용하는 공간인데, 배수 불량과 세족장 부족은 방치할 수 없는 문제"라며, 2026년도 예산 3억원이 실질적 변화로 이어지도록 구체적 개선을 촉구했다. 시는 그의 지적을 수용하며 안전·편의시설 보강을 약속했다.

반려동물 정책에서도 이 의원은 단호했다. "대전에는 12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이 있지만 공공형 장묘시설이 없다"며, 민간시설 중심의 구조가 시민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시가 민간 장묘시설 허가 상황을 설명하자, 그는 다시 "공공시설 설치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못 박았다. 지역 생활정책의 사각지대를 정확히 짚어낸 주장이었다.

이어 13일, 감사의 무게 중심은 자연스럽게 중앙로지하상가로 옮겨갔다. 그리고 이 자리에서도 이 의원은 핵심 문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냈다.

그는 중앙로지하상가의 오랜 업종 획일화가 상권의 경쟁력을 약화시켰다고 분석했다. "동일 업종 중심의 구조가 고착되며 활력을 잃었다"며, 운영의 소홀함 수준이 아니라, 상권 자체가 안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문제의 본질로 지목했다.

또 허가 불가 업종인 사격장의 장기 불법 운영 문제를 언급하며 "관리체계가 작동하지 않는 대표 사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도시 상권의 기초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필수 조치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 의원은 상권 회복을 위해 △업종 구성 재편 △운영 기준 체계화 △전문가 진단 기반의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며, 기존의 임시 대응이 더 이상 효과를 낼 수 없음을 명확히 했다. 이틀간 감사에서 가장 전략적·구조적인 제안을 내놓은 순간이었다.

마무리 발언에서 이 의원은 "정원·수목원·반려동물 정책은 시민의 일상과 연결된 의제이고, 중앙로지하상가는 도시의 삶을 지탱해온 공간"이라며, "현장의 불편을 해소하고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을 통해 도시의 균형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틀 동안 이어진 감사의 흐름을 관통한 것은 결국 '이한영 의원의 문제 인식과 정책적 처방'이었다. 생활정책부터 상권 구조까지 폭넓은 의제를 끌어올리며, 대전시 행정의 방향을 재정비하도록 압박한 실질적 중심축으로 평가된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