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로 간다는 국가, 현실에서 멈춘 지역 직격
기술 격차는 행정의 책임이라는 초강도 메시지
서구의 정책 우선순위 다시 쓰라는 요구
대전시 서구의회 서다운 의원이 13일 본회의에서 한 발언은, 기존 복지·안전 이슈와는 결이 달랐다.
그는 서구 행정에 "미래 전략을 갖췄느냐"는 본질적 질문을 던지며, 다른 현안과 차원이 다른 '미래 경쟁력' 논쟁의 포문을 열었다.
서 의원은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언급하면서, 국가가 AI 전환을 선언한 지금, 지역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지 못한다면 그 자체가 새로운 불평등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말을 이어 날을 세웠다. "디지털 전환은 기술 문제가 아니다. 접근권 문제다. 그리고 그 접근권을 지키는 역할은 지방정부다."
그는 지난 6일 직접 토론회를 열어 주민·전문가·기관 의견을 듣고, 서구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하나씩 드러냈다. 기기 조작조차 어려운 노인, 고비용 장비 때문에 참여가 막힌 청소년, 온라인 행정 접근이 힘든 취약계층… 이 현실은 단지 격차가 아니라 정책 부재가 만든 결과라고 선을 그었다.
그리고 해결책도 목록 나열 없이 하나의 흐름으로 제시했다. 서 의원은 서구가 생활권에서 주민이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반부터 만들고, 교육의 접근 장벽을 허물고, 기술을 안전하게 다루기 위한 시민 교육을 제도에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기업·대학·기관을 연결해 '서구형 디지털 포용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서구가 미래 도시로 가기 위한 실질적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마무리에서 한 번 더 서구 행정을 압박했다. "AI 시대는 기술이 앞서는 시대가 아니다. 기회를 나누는 시대다. 그 길을 만들 책임은 서구청에 있다."
이번 발언은 다른 의원들의 현안 지적과 완전히 결이 다르다. 서다운 의원은 '현재 문제'가 아니라 '다가오는 구조 변화'를 주제로 행정의 방향성을 검증했고, 이는 서구청이 지금까지 미뤄온 미래 정책의 우선순위 자체를 다시 쓰라는 요구로 읽힌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