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본부 신설 논의 본격화
대덕특구 기반 연구 생태계 재편
산학연 협력 축으로 전략거점 구축

▲ 대전시 유득원 행정부시장(사진 중앙 맨 우측)이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지역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전시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하며 발언하고 있다
▲ 대전시 유득원 행정부시장(사진 중앙 맨 우측)이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지역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전시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하며 발언하고 있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체계를 다시 짜려는 움직임 속에서 대전시가 국가 우주전략의 중심을 향한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전시는 14일 국회 제9간담회의실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이주희 의원과 박범계·조승래·장철민·박용갑·박정현·장종태 의원과 공동으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이번 논의는 지난 2024년 9월 황정아 의원이 발의한 '우주항공청법 일부개정안'을 중심으로, 우주항공기술 연구·사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본부 신설 필요성을 짚어보는 자리였다.

▲ 14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우주 연구개발 체계 강화를 다짐하며 기념촬영하고 있다
▲ 14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우주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우주 연구개발 체계 강화를 다짐하며 기념촬영하고 있다

토론회는 참가자 등록을 시작으로 개회 선언, 내빈 소개, 축사 순서로 이어졌다. 기념촬영을 마친 뒤 본격적인 정책 논의가 시작되면서 현장의 분위기가 빠르게 집중됐다.

첫 발표는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이 맡았다. 그는 대덕특구 기반의 우주항공 연구개발 허브화를 핵심으로 제시하며, 기술·인력·기관 간 연결 구조를 정교하게 재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장은 허환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맡아 발표 내용을 정리하고 토론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지정토론에서는 산업계·학계·정책기관이 함께 참여해 실질적 운영 전략을 놓고 깊이 있는 의견이 오갔다.

사공영보 솔탑 대표는 민간기업이 연구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구조적 기반 강화의 필요성을 이야기했고, 윤효상 KAIST 교수와 신의섭 전북대 교수는 전문 인력과 기술 축적을 위한 학계 역할을 짚었다.

이문식 ETRI 본부장은 위성통신 분야의 연구 현황을 소개하며 실질적 연구 연결 고리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장길수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부장은 지역 산업 생태계 전반의 전략적 조정을 제안했다. 이재형 우주항공청 기획조정관은 정부 차원의 제도 정비 방향을 공유하며 논의를 정리했다.

전체 토론에서는 △연구개발본부 설치 시 기대되는 협업 효과 △다기관 사업 조정 방식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한 연구 생태계 재편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 전략 등이 폭넓게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우주기술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전략 자산이며, 지금은 체계를 다시 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황정아 의원은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힘은 사람과 생태계이며, 그 중심은 대덕특구가 구축해 온 연구 기반"이라며 연구개발본부 설치 필요성의 정책 반영을 약속했다.

유득원 행정부시장은 "대전은 세계적 연구 인프라와 전문 인력이 집적된 도시"라며 "새 산업구조를 뒷받침할 혁신체계를 통해 우주항공산업의 전략거점이 되도록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