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중심 교통문화 다짐의 자리
도시 안전을 향한 공동 실천 선언
민·관 협력 확산되는 보호 체계
도시의 속도가 잠시 멈췄다. 대전시가 17일 대강당에서 교통사망사고 없는 도시를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며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을 열었다.
행사장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교통 관련 기관·단체, 시민 500여 명이 자리했고, 모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교통안전 문화의 전환을 함께 약속했다.
올해 대전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10월 기준 53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이 커진 만큼, 시는 운전자의 경각심 부족과 생활 속 안전 인식 저하를 주요 문제로 지목하고 이번 선언과 특강을 기획했다.
이날 행사는 교통발전 유공자 표창으로 시작해 '교통사망사고 제로' 선포 퍼포먼스, 어린이 보호구역 환경개선 민·관 협약식, 한문철 변호사의 교통안전 특강 순으로 이어졌다.
선포 퍼포먼스에서는 참석자들이 슬로건을 외치며 사고 유발 행동을 상징적으로 제거하는 타격 퍼포먼스를 진행해, 도시 전체가 안전을 향해 함께 나아갈 의지를 표현했다.
이장우 시장은 "오늘의 선언이 사람 중심 교통문화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대전시는 시민의 생명을 지키는 정책에 역량을 집중해 일류 교통도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어린이 보호구역 환경개선을 위한 민·관 협약에는 △대전시 △대전시교육청 △대전경찰청 △한국앤컴퍼니 △한국생활안전연합이 참여했다. 사업은 옐로카펫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되며, 한국앤컴퍼니가 1억원을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지정 기탁하고 한국생활안전연합이 시설을 설치해 시에 이관한다. 이번 협력은 취약계층 보호 체계를 강화하는 민·관 상생 모델로 평가된다.
교통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한문철 변호사의 특강도 이어졌다. 실제 사고 장면을 기반으로 운전자와 보행자가 서로를 배려할 때 비로소 생명이 지켜진다는 메시지를 전해 시민들의 깊은 공감을 얻었다.
특강 후 한 변호사는 DB손해보험과 함께 반광 안전물품 1500벌(1억원 상당)을 대한노인회 대전시연합회와 대전노동권익센터에 기증하며 고령층 안전 지원에 동참했다.
대전시는 노인 보호구역을 2025년까지 161개소로 확대하고 있으며, 2026년 본예산에 고령운전자 첨단안전운전 보조 장치 등 새로운 정책을 반영해 실효성 있는 교통안전 대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아갈 계획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