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포럼, 평생교육 체계 재설계
지역 기반 학습안전망 확대
민관학 협력모델 고도화

▲ 81차 동구포럼 참석자들이 '고령 사회 대비 디지털 전환 시대의 평생교육'을 주제로 열린 행사에서 지역 교육 혁신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왼쪽에서 다섯 번째 박희조 동구청장
▲ 81차 동구포럼 참석자들이 '고령 사회 대비 디지털 전환 시대의 평생교육'을 주제로 열린 행사에서 지역 교육 혁신 방향을 함께 논의하고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왼쪽에서 다섯 번째 박희조 동구청장

전 세대가 학습을 통해 역량을 키우지 않으면 지역의 미래도 흔들린다는 문제의식이 동구 포럼 현장을 가득 채웠다. 

대전시 동구는 18일 대전대학교 30주년기념관 하나컨벤션홀에서 학계·현장 전문가·대학생·주민 등 1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고령사회 대비 디지털 전환 시대의 평생교육'을 화두로 81차 동구 포럼을 열었다.

포럼의 방향성은 명확했다. 교육의 논의 대상을 학교와 청년 세대에만 두지 않고, 지역 전체가 참여하는 '전 생애 학습권 보장' 체계로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기술 변화가 생활환경·행정서비스·노동구조를 광범위하게 바꾸는 상황에서 특정 세대가 뒤처질 경우 지역의 지속 가능성 자체가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한다.

주제 발표에 나선 대전대학교 김용민 교수는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평생교육의 목표가 새롭게 재정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년층 학습 공백을 해소하고 세대 간 학습 접근성을 균등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 차원의 인프라 확충과 디지털 활용 역량 교육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특히 교육과 복지, 문화 정책이 따로 움직이는 기존 구조로는 대응이 어려운 만큼 학습·복지·참여가 결합된 통합형 정책 설계가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김영진 대전연구원장의 사회로 여러 전문가들이 실제 정책 과제를 짚었다. 토론자들은 디지털 접근성 개선, 정보 격차 해소, 지역 학습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평생교육 데이터 기반 정책 설계 등 체계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대학·지자체·지역기관이 학습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하는 구조가 정착되면 지역 전체의 교육 회복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시됐다.

박희조 동구청장은 포럼이 제시한 정책 방향을 지역 행정에 반영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급속한 기술 변화 속에서 지역의 모든 세대가 학습을 통해 성장해야 지역 경쟁력도 유지될 수 있다"며 "민관학 협력 구조를 한층 더 정교하게 구축해 평생학습 기반을 확장하겠다"고 강조했다.

1999년 출범한 동구 포럼은 올해로 81회차를 맞았으며, 지역 현안 분석과 정책 논의의 축 역할을 수행하며 동구의 교육·도시·사회정책을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