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례회 운영틀 재정비
의정 심사력 전면 강화
구정 감시기능 고도화

▲ 대전 동구의회 오관영 의장(정면 오른쪽)이 전체의원 간담회를 주재하며 290회 정례회 의사일정을 논의하고 있다. 각 상임위원장이 질의자료를 검토하며 회의가 진행되는 모습
▲ 대전 동구의회 오관영 의장(정면 오른쪽)이 전체의원 간담회를 주재하며 290회 정례회 의사일정을 논의하고 있다. 각 상임위원장이 질의자료를 검토하며 회의가 진행되는 모습

대전시 동구의회가 2026년도 구정 운영을 정밀하게 들여다보기 위한 감시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18일 열린 운영위원회와 전체의원 간담회에서 290회 정례회 일정이 확정되면서, 의회는 정책·예산·행정 집행 전반을 세밀하게 검증하는 강도 높은 심사 방침을 공식화했다.

정례회는 11월 25일~12월 19일까지 이어지며, 2025 행정사무감사와 2026 본예산 심사가 핵심 축을 이룬다. 의원들은 부서별 업무 수행 결과, 정책 추진의 현실성,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기준 삼아 구정 전반의 구조적 과제를 짚어낼 계획이다.

오관영 의장은 회기 확정 직후 "이번 정례회는 구정 운영의 공공 책임성을 강화하는 자리"라고 못 박았다. 이어 "모든 의원은 주민의 시각으로 정책을 검토하고 잘못된 부분은 분명하게 바로잡아야 한다"며 감시역량 강화를 주문했다. 그의 발언은 의회가 형식적 절차에 머물지 않고, 행정 전반을 정교하게 재점검해 구정 운영의 실제 변화를 끌어내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

회의 일정 역시 감시 기능 중심으로 촘촘하게 구성됐다. 25일 1차 본회의에서 회기가 개시되면 곧바로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가동되고, 12월 3일까지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가 각 부서의 정책 집행 구조와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같은달 5~8일 상임위원회에서는 사업 타당성, 예산 배분 적절성, 집행 실효성 등을 다시 한 번 정밀하게 분석한다. 9일 2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는 2026 예산의 우선순위와 집행 체계를 놓고 본격적인 검증이 진행된다.

이후에도 본회의와 상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연속적으로 열리며 구정의 운영 구조를 단계별로 분석하는 체계가 이어진다. 모든 결과는 19일 3차 본회의에서 최종 정리된다.

동구의회는 정례회 운영 내내 주민의 신뢰를 높이는 '책임 있는 감시 체계'를 최우선에 두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회기 전체 일정을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