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 위험 대응체계부터 정비
생활체육 기반의 구조적 확장
현장 불편 제도로 끌어올리는 입법
대덕구의 일상 안전과 주민 건강 환경이 더 이상 '좋은 의지'만으로는 버틸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판단 아래, 이준규 의원이 직접 해법을 꺼내 들었다.
대전시 대덕구의회 290회 2차 정례회에서 이 의원은 실종 위험 대응체계 정비와 생활체육 기반 확장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조례로 제안하며 지역 현장의 난제를 정면으로 건드렸다.
먼저 발의된 '대덕구 실종아동 등의 발생 예방·지원 조례안'은 그동안 기관별로 흩어져 있던 대응 절차를 구체적인 지원 체계로 묶어내는 장치다. 위치 확인 장치 보급, 예방 프로그램 운영, 가족·보호자 지원, 공로자 포상까지 연계되며, 경찰서·보건소·지역기관 간 협력을 제도적으로 묶어 사고 발생 때 신속 대응이 이뤄지지 못했던 구조적 한계를 바로잡는 데 방점을 찍었다.
생활체육 관련 문제는 더욱 직설적으로 건드렸다. 지역 체육 인프라는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고, 동호인 조직은 자원과 공간이 달려 운영이 불안정하다는 현장의 요구가 이어져 왔다. 이에 이 의원은 생활체육을 여가에 국한하지 않고, 주민 삶의 질과 지역 에너지에 직결되는 공공 기능으로 설정했다.
이 조례에는 생활체육 강좌 확충, 동호인 조직 운영 지원, 전통종목 육성, 생활체육 생활화 운동, 국제교류 행사까지 폭넓은 사업 추진 근거가 담겼다. 여기에 생활체육지속발전위원회를 두어 정책이 행사 중심으로 흐르지 않도록 구조적인 관리·심의를 가능하게 했다.
이준규 의원은 "대덕구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안전 공백과 생활체육 기반의 정체는 더 이상 방치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된 요구를 제도로 끌어올려 구민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높이기 위한 입법에 계속 나서겠다"고 말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