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저감조치 실효성 재검증
산업배출 통제장치 강화촉구
첨단감시장비로 현장 압축감시

▲ 옥천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상황실에서 운영 담당자가 소각·배출 공정 흐름도를 설명하고 있으며, 금강유역환경청 송호석 청장이 비상저감조치 대비 운영체계를 점검하고 있는 장면
▲ 옥천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상황실에서 운영 담당자가 소각·배출 공정 흐름도를 설명하고 있으며, 금강유역환경청 송호석 청장이 비상저감조치 대비 운영체계를 점검하고 있는 장면

초미세먼지 고농도 시즌을 앞두고 금강유역환경청이 19일 옥천 자원순환센터를 찾았다. 

이번 점검은 현장 방문이 아니라, 비상저감조치 체계 전반의 실효성을 다시 확인하는 정책적 리스크 진단 성격에 가깝다.

송호석 청장은 발령 즉시 가동돼야 하는 사업장 대응 매뉴얼을 하나씩 대조하며, 가동률 조정·방지시설 약품 투입 확대·운영시간 관리 등 핵심 절차가 "문서에만 존재하는지, 실제로 작동 가능한지"를 직접 확인했다. 이는 그간 반복된 고농도 국면에서 지방 대기관리 체계가 보인 속도 저하·전파 지연 문제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 옥천군 자원순환센터 회의실에서 금강유역환경청 관계자들이 초미세먼지 재난 대비 비상저감조치 이행 절차와 현장 운영 방안을 브리핑받고 있으며, 강사가 주요 대응 매뉴얼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 앞줄 맨 우측 송호석 청장
▲ 옥천군 자원순환센터 회의실에서 금강유역환경청 관계자들이 초미세먼지 재난 대비 비상저감조치 이행 절차와 현장 운영 방안을 브리핑받고 있으며, 강사가 주요 대응 매뉴얼을 설명하고 있는 모습. 앞줄 맨 우측 송호석 청장

비상연락망 유지와 상황전파 체계 점검은 이번 방문의 또 다른 핵심이었다. 금강청은 특히 상황 통보 속도의 표준화와 지역별 전달 구조의 병목 위험을 문제로 보고, 즉시 개선이 필요한 사업장을 추려 후속조치를 예고했다.

산업단지 감시도 한층 강화됐다. 금강청은 드론·이동측정차 등 첨단 장비를 투입해 진천 신척 산업단지 내 고농도 배출 의심 사업장을 집중 확인했다. 이는 전통적 서류 점검을 넘어 실시간 배출 패턴 파악 → 즉시 현장 확인 → 신속 조치로 이어지는 선제형 감시 모델을 구축하려는 흐름이다.

또 비산배출시설과 촉매제·첨가제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지도·점검을 통해, 동절기 특성상 급증하는 산업 배출 기여도를 초기에 차단하려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환경정책 전문가들은 이번 점검에 대해 "고농도 국면의 피해를 줄이려면 사후 규제가 아니라 사전 위험 탐지가 핵심"이라며 "지방 환경청의 점검 방식이 구조적 점검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평가한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산업현장·지자체·지역 배출원을 연동한 통합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대전=이한영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