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배달문화. 조선 후기에도 냉면이나 해장국을 배달시켜 먹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긴 역사를 자랑한다.
배달노동자들은 매번 따듯하고 맛있는 음식을 빠르게 배달해주는 고마운 존재다. 다만 빠른 배달을 위해 자신의 목숨은 물론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태가 많아지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차도를 돌아다니는 배달 이륜차를 보면 교통법규를 빈번하게 위반한다. 신호 위반은 물론이고 과속, 칼치기, 차량 사이 주행, 불법 등화류 설치, 번호판 없이 주행 등 온갖 위법행위를 저지른다. 법규 위반까지는 아니더라도 주택가에서 배기음을 크게 내는 등 피해를 주기도 한다.
충북경찰청의 이륜차 교통법규 위반 단속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10월) 경찰에 적발된 법규위반 행위는 7만3852건에 이른다.
이 중 신호 위반은 3만4177건으로 무려 46.27%를 차지한다. 중앙선 침범도 9145건으로 12.38%나 된다.
두 행위 모두 사고 위험성이 높은 위법행위다. 최근 5년간 충북지역에서 발생한 이륜차 교통사고 현황을 살펴보면 사고 발생 건수에 비해 사망자나 부상자 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충북에선 3320건의 이륜차 교통사고가 발생해 124명이 숨졌다. 부상자는 4308명이다.
이 같은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마주한 심각한 경고음이다. 구조적으로 보호장비 착용률이 낮고, 충격 흡수 장치가 빈약한 이륜차의 특성상 사고 한 번이 곧 중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배달의 높은 수요와 시간 압박이 결합하면서 '속도가 생계'가 된 현실은 개인의 무모함만으로 치부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하다.
정부와 지자체는 단속을 강화하는 데 그치지 말고, 위험을 부추기는 구조적 요인을 적극 해소해야 한다. 배달업체의 과도한 경쟁을 막기 위한 표준 운영 가이드 마련, 일정 수준의 안전교육 이수 의무화, 반복 위반자에 대한 실효적 제재 등이 뒤따라야 한다.
배달 플랫폼 역시 알고리즘 경쟁을 부추기기보다 안전운행을 우선하는 배차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무엇보다 시민의식 개선이 절실하다. 소비자들이 '몇 분 빨리 배달되는가'만을 기준으로 업체를 평가한다면 위험 운행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안전하게 도착한 음식이야말로 진정한 서비스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이륜차는 현대 사회의 중요한 이동수단이자 생계의 기반이다. 그러나 그 소중함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법규 준수라는 최소한의 약속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도로 위를 달리는 이륜차 운전자와 시민 모두의 생명을 위해, 무분별한 법규위반은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