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사업 추진상황 점검 강화
지역경제 사업운영 개선 목소리
일자리 지원정책 실효성 재검토
대전시 서구의회 경제복지위원회가 19일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3일 차에 돌입하며 전략사업과·지역경제과에 대한 감사를 이어갔다.
위원들은 공약사업의 진행 속도, 지역경제 지원책의 실효성, 공공사업 지연에 따른 주민 불편 등 행정의 핵심 지점을 강도 높게 점검했다.
오세길 위원장은 KT인재개발원 부지를 활용한 첨단산업 집적복합단지 조성 계획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확인했다. "민선8기 공약의 중추 사업인 만큼 일정 차질은 곧 지역 성장 전략의 흔들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철저한 이행 관리와 단계별 점검을 요구했다.
설재영 부위원장은 서구 특수영상콘텐츠 테크아트 사업을 겨냥해, 기준 부재와 지원 방식의 불안정성을 문제 삼았다. "테크아트는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고도 산업인데도 명확한 방향 제시가 부족하다"며, 기업 지원과 AI 교육이 일회성 행정에 머물지 않도록 지속적 투자를 주문했다.
전명자 위원은 도마큰시장 제3주차장 공사 지연을 두고 "행정의 무책임이 상인 피해로 직결되는 대표 사례"라고 비판했다. 공사 기간 조정조차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지적하며 "대책 없이는 피해만 증폭된다"고 직언했다.
정현서 위원은 골목형상점가 활성화 사업의 안내 체계 부족을 비판했다. 주민들이 상점가 위치조차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현 상황을 지적하며, "지도 구축과 안내 표식 설치 등 체감 가능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미자 위원은 사회적 기업 지원 정책을 겨냥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말하면서 실제로는 방치에 가깝다"고 직격했다. 지원의 깊이가 얕고 관리가 흐릿해 추진 명분만 남는 구조라며 개선을 촉구했다.
신현대 위원은 청년정규직내일지원사업의 운영 현황을 짚으며, 지원의 지속성 부족을 지적했다.
"청년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갖기 위해서는 단기 지원이 아니라 장기적 경력 정착을 돕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서구의회 경제복지위원회의 이번 감사는 행정이 말하는 성과와 현장에서 확인되는 실체 사이의 간극을 날카롭게 파고든 하루였다. 위원들은 "사업 예산과 계획만으로는 지역경제가 움직이지 않는다"며 이후 보완계획 마련을 집행부에 강하게 요구했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