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업무환경 개선 과제 부각
지자체·연합회 협력체계 재정비 필요
보육 현장 목소리 모아 더 나은 돌봄
보육 현장이 겪는 운영 부담과 정책 공백을 확인하는 시간이 21일 침례신학대학교에서 마련됐다.
대전시 유성구와 대전어린이집연합회 유성구지회가 개최한 '보육인 한마음 대회'는 교직원 300여 명이 모여 현장에서 마주하는 여러 과제를 공유하는 자리로 이어졌다.
보육 교직원들은 과중한 업무와 휴식 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인 피로를 호소해 왔다. 행사에서 공연 프로그램이 구성된 배경에는 교직원 소진을 줄이고 기본적인 근무 여건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지역 보육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인력 유지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 조정이 더 촘촘히 이뤄져야 한다는 요구가 나온다.
구는 보육정책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체감하는 행정지원 수준과 운영 현실의 간극은 여전히 존재한다. 영유아 안전관리, 시설 운영 규정, 교직원 처우 등에서 현장의 의견이 정책 설계 과정에 반영되는 구조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현장에서 제기한 의견을 세심하게 반영하겠다"며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제도 조정을 강조했다. 이는 보육 서비스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운영 체계를 다시 세우는 과정으로 해석된다.
이달 초 민간어린이집 연합회가 영유아 안전 체험 행사에서 조성한 기부금 100만원을 행복누리재단에 전달한 사례는 지역 돌봄 생태계를 확장하는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주민이 참여하는 지원 구조가 마련되면 보육시설 환경 개선과 취약가정 지원 등에서 공공예산의 부담을 덜어주며 지역 참여 기반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 분석가들은 유성구 보육정책의 다음 단계가 현장의 의견을 직접 반영하는 방식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제시한다.
특히 △교직원 근무환경 개선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정책과 운영의 조율 강화 △지역 지원 기반 확대 등이 앞으로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이번 행사는 단발 행사에 그치지 않고 보육정책 전반의 구조를 다시 살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제기한 자리였다. 유성구가 현장에서 드러난 과제를 어떻게 제도로 옮길지가 지역 보육체계의 향방을 결정할 전망이다. /대전=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