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집단 거주 시설에서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하면서 집단 거주 시설 전반의 안전 실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해 10월 29일 충북 청주의 한 실직자 지원센터에서는 A씨(당시 50)가 같은 방을 쓰던 60대 입소자를 흉기로 찌르고 도주했다가 엿새 만에 경찰에 붙잡혔다.
사건 당일 이 시설에 입소했던 A씨는 같은 방을 쓰게 된 피해자에게 귤을 건네며 말을 걸었다가 무시당하자 이 같은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일에도 청주시 청원구의 한 전통시장 근로자 숙소에서 잠을 자던 70대 흉기에 피습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용의자는 같은 업체에서 일하는 조선족 일용직 노동자가 지목됐다.
경찰은 피해자와 신고자 진술, CCTV 영상 등을 토대로 용의자를 특정해 추적 중에 있다.
이러한 사건은 단순히 개인 간의 갈등이나 우발적 범행으로만 치부하기 어렵다.
그 배경에는 열악한 거주 환경, 제대로 된 관리 인력의 부재, 갈등 조정 체계의 미비 등 구조적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실직자 센터나 근로자 숙소 등에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모여 살지만, 시설 대부분은 외부의 감시나 지원이 부족하다.
생활공간도 협소해 사소한 갈등이 쉽게 폭력으로 번질 위험성도 높다. 단순히 잠자리만 제공하는 수준의 관리로는 더 이상 공동생활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
따라서 공동 생활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 점검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먼저 방 배정 기준과 입소자 간 갈등 위험을 분석할 수 있는 기본적인 상담·평가 제도가 필요하다.
생활지도 인력과 24시간 대응 시스템 갖춰 위기 상황을 조기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좁은 공간에서 다수가 생활하는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시설 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여기에 CCTV 확대, 비상벨 설치, 잠금장치 등 기본적인 물리적 안전장치도 필수다.
물론 사설 업체가 운영하는 경우 예산을 확충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을 것이다. 나라에서 운영하는 곳이라도 엉뚱한 곳에 세금을 쓴다는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
아무런 대책 없이 공동 생활시설을 방치할 경우 이 같은 유형의 사고는 계속해서 이어질 뿐이다. 취약계층이 머무는 공동 생활시설은 사회적 보호의 마지막 울타리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