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신규채용 모두 감소…제조·건설 부진·기업 투자 위축이 ‘직격탄’
2030세대 임금근로 신규 일자리가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소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고용 한파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기업의 채용 여력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중 20·30대의 신규채용은 240만8000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6000개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8년 이후 2분기 기준 가장 적은 수준이다.
2030 신규 일자리는 2022년 279만3000개에서 2023년 272만5000개, 지난해 252만4000개로 매년 감소세를 이어왔다. 2018년 285만6000개와 비교하면 50만개 가까운 새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특히 대학 졸업자의 첫 사회진출과 맞물리는 20대 이하 신규 채용은 137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8만4000개 줄며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30대 신규 채용도 지난해 107만개에서 올해 103만8000개로 3만2000개 감소했다.
신규채용 일자리는 기업의 신설, 확장 등으로 생기는 ‘추가 채용’으로, 감소세는 기업들이 기존 인력 외에 새 인력을 뽑을 여력이 점점 줄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부는 청년고용 회복을 위해 재정·세제 지원 확대와 청년 맞춤형 직무 교육 강화 등을 내세우고 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민간기업의 투자 부진이 지속할 경우 단기간 개선은 쉽지 않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재옥기자
김재옥 기자
kjokstory@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