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 순위 성정1동 65호, 성거읍 51호, 직산읍 49호, 입장면 48호, 성환읍 47호, 신안동 45호 순

 

충남 천안시가 농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 중인 빈집정비사업과 농촌주택개량사업이 일부 성과를 내고 있으나 올해 사업 진행률과 신청 건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24일 시와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농촌빈집정비사업은 지난 2023년 사업비 1억 500만을 투입해 45동을 대상으로 44동을 완료했고 지난해는 1억 4500만원을 들여 50동 가운데 44동을 정비했다.

그러나 올해는 사업량을 50동으로 계획 했으나 2동만 추진해 집행 속도가 크게 떨어진 상태다.

지원 단가는 △2023년 1동당 240만원 △2024년 300만원 △2025년 714만 2000원으로 세 배 가까이 증가했다.

농촌주택개량사업은 농촌 이주희망자와 노후주택 개량 수요자에게 저금리 융자를 지원하는 사업이지만 신청률이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23년과 2024년 모두 사업량을 58동으로 목표 했으나 신청건수는 2023년 18동(준공 11건, 포기 7동), 2024년 32건(준공 11동, 착공 5동, 포기 16동)으로 조사됐다.

올해는 사업량 12동에 14동이 신청해 이중 준공 1동, 착공 4동, 포기 2동, 미착공 7동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신청동수가 크게 전년 보다 79% 가량 감소한 것은 건축비 상승, 농촌 인구 감소, 금융부담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이밖에 지역내 빈집도 총 734호로 집계됐다.

이 중 읍·면 지역은 406호(허가 346·무허가 60), 동 지역은 328호(허가 293·무허가 35)로 나타나 농촌지역에서 더 많은 빈집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지역별로는 성정1동 65호, 성거읍 51호, 직산읍 49호, 입장면 48호, 성환읍 47호, 신안동 45호 등이 불당동 등 신도심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빈집 밀집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6월 빈집정비계획을 공식 고시했으며 2029년 상반기까지 2차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빈집 정비는 단순 철거 중심이었던 기존 정책에서 더 나아가 귀농·귀촌 정착 주택, 공공임대, 마을 공동활용시설 등 재생·활용형 정책 도입도 검토하고 있는 입장이다"며 "인구구조와 농촌공간 전략이 함께 고려돼야 하는 과제로 사업 속도 점검과 함께 실효성 있는 활용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천안=김병한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