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지방선거 공천과 당 대표 권한 강화 등과 직결된 사안인 전당대회 투표 방식을 놓고 내홍을 겪고 있다. 

민주당은 24일 국회에서 당무위원회를 열고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의 가치를 동등한 1표로 맞추는 '1인1표제' 관련 당헌·당규 개정안을 다음 달 5일 중앙위원회에서 처리하기로 했다고 조승래 사무총장이 밝혔다.

당초 오는 28일 중앙위에서 '1인1표제' 도입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을 의결할 예정이었으나, 충분한 숙의 없이 진행된다는 반발에 부딪치자 속도조절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조 사무총장은 당무위 후 기자들과 만나 "1인1표제 도입과 관련해 당원들의 일부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이 제도를 어떻게 보완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중앙위 소집을 당초 11월 28일에서 12월 5일로 일주일 연기하는 안에 대해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안건은 지난 21일 최고위 의결을 거쳐 이날 당무위에서도 해당 안건이 의결됐지만, 일부 당원들의 이견이 나온 만큼 최종적인 중앙위 의결은 일단 연기했다는 설명이다.

앞서 당 지방선거기획단장인 조승래 사무총장은 21일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오는 24일 당무위원회, 28일 중앙위원회를 거쳐 당헌·당규 개정 절차에 들어간다"며 "당헌은 중앙위원회에서, 당규는 당무위원회에서 결정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지난 19·20일 양일간 실시한 당원 의견 수렴 투표에서 1인 1표제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86.8%가 찬성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대는 13.2%였다.

1인1표제가 도입되면 기존 20대 1인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은 1대 1로 평등해진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23일 1인 1표제가 민주적 절차임을 강조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당대표 시절부터 1인 1표제는 꾸준히 논의했던 사안"이라며 "더는 미룰 수 없다"며 도입 강행의지를 재확인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1인 1표제와 관련해 "정 대표의 연임을 위한 졸속 개정"이라는 비판과 함께 "개딸과 같은 강성 지지층만을 위한 정당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서울=이득수 기자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