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로컬브랜드·야간콘텐츠·참여형 프로그램 확대 필요” 제언
충북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생활인구’ 확대 전략이 지역경제 회복의 핵심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충북본부는 24일 신학승 한양대 교수 등 외부 전문가와 공동 수행한 ‘관광생활인구와 지역경제 활성화: 충청북도 공간분석’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단순 방문객 수 유입보다 머무는 시간과 소비를 늘리는 체류형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관광생활인구’는 관광객뿐 아니라 출장자, 장기체류자 등 지역에 일시적으로 머무르며 소비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충북 11개 시·군의 체류형 관광 데이터와 지역 소비 패턴을 분석해 관광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진단했다.
연구 결과, 관광객이 많이 찾아와도 체류 시간이 짧으면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체류형 관광 비중이 높은 지역은 숙박·음식업 매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지역 소득 증가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충북은 내·외국인 방문객 유입은 꾸준하지만, ‘당일 관광’ 비중이 높아 소비가 지역 안에 머물지 못하고 분산되는 구조가 약점으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충북이 오고 가는 지역이 아닌 ‘머무는 지역’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충북 대표 관광지인 단양·제천뿐 아니라 최근 방문 수요가 늘고 있는 음성·진천 등에도 지역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음성군의 경우 전통문화 콘텐츠인 ‘품바’를 중심으로 농특산물, 생활형 자연자원, 신성장 산업을 연결한 통합 로컬브랜드 구축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젊은 층 방문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참여형 프로그램 확대가 효과적”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단양군은 패러글라이딩·보트투어 등 일부 액티비티에 관광 수요가 집중돼 있어, 야간 관광과 사계절형 콘텐츠를 강화해 관광 이미지를 다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보고서는 “체류형 관광이 늘어야 지역 상권이 회복되고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며 지역 특성과 소비 패턴을 고려한 정교한 수요지향형 정책 설계를 주문했다. 연구진은 또한 충북 관광정책이 여전히 공급 위주의 사업 중심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관광객의 행동·선호·이동 패턴에 기반한 정책 고도화를 제안했다.
핵심 방향으로는 △지역 정체성 강화 △지속가능 관광 기반 구축 △브랜드 쇄신 △체류형 콘텐츠 확대 등을 제시했다.
한은 충북본부는 “이번 분석은 충북 관광 경쟁력의 구조적 문제를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다”며 “관광산업이 앞으로 지역경제의 성장축으로 자리 잡기 위해 정책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재옥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