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위원장 "현장 중심 심사 강화"
생활·복지 조례 정비 확대
예산 구조 점검 체계 강화
시정 운영 기반 안정 확보
충남 계룡시의회가 2026년도 시정 운영의 골격을 결정짓는 조례·예산안 심사를 마무리하며 185회 정례회에서 굵직한 안건을 속도감 있게 처리했다.
25일 열린 2차 본회의에서는 각 상임위원회가 준비해 온 2025 조례·예산 관련 안건들이 일괄 의결되며 시정의 주요 사업 추진 기반이 자리 잡았다.
의안심사특별위원회(위원장 이청환 의원)는 △계룡시 시민 영양관리 조례안(김미정 의원 발의)을 포함한 모두 13건의 조례안을 모두 원안대로 가결했다. 시민 생활과 직접 맞닿은 규정들이 정비되면서 내년도 정책 추진의 제도적 틀이 더욱 견고해졌다.
이청환 위원장은 심사 후 "조례는 문구 수정이 아니라 시민의 일상을 다듬는 과정"이라며 "위원회는 현장에서 실제로 어떤 변화가 생길지를 기준으로 조문 하나하나를 살폈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도 실효성 없는 조항은 과감히 걷어내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정을 만드는 데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이용권 의원)는 △2025, 3회 추가경정예산안 3326억8200만원 △2025, 3회 기금운용변경계획안 431억9800만원을 심사해 모두 원안 가결했다. 위원회는 세출 구조, 중복 사업 여부, 단위사업별 집행 가능성 등을 세밀히 검토하며 예산의 균형성과 실효성을 점검했다.
이용권 위원장은 "예산은 시 전체의 흐름을 결정하는 설계도이기 때문에 세부 항목을 놓칠 수 없다"며 "최종 심사 단계에서 사업 타당성과 집행 안정성을 중점적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이 낸 세금이 꼭 필요한 곳에 쓰일 수 있도록 앞으로도 예산 심사 기준을 더 정교하게 다듬겠다"고 밝혔다.
계룡시의회는 본회의 의결 이후에도 숨 가쁜 일정을 이어간다. 26~28일까지는 2025 주요업무 추진성과와 2026 계획 보고가 이어지고, 12월 1일에는 현장 방문 일정이 진행된다. 12월 2~12일까지는 2026 본예산·기금운용계획안 심사가 본격화되며, 15일 6차 본회의에서 정례회가 마무리된다.
이번 정례회는 조례 정비 → 예산 검증 → 사업 계획 점검이 연속적으로 이뤄지며, 2025 계룡시 시정 운영의 기반을 실질적으로 구축한 회기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계룡=이한영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