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보다 26분 앞당겨..소수 배석 단독회담 형식

▲남북정상 악수 3일 오전 백화원 영빈관에서 열린 2007 남북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은 3일 오전 9시34분께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에 들어갔다.

이날 회담은 당초 예정시간인 10시보다 26분 가량 앞당겨 시작됐으며, 소수의 배석자만이 참석한 단독회담 형식으로 열렸다.

배석자로는 남측의 경우 권오규 경제부총리, 이재정 통일부 장관, 김만복 국정원장,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북측에서는 김양건 통일전선부 부장이 참석했다. 조명균 청와대 안보정책조정비서관은 기록을 위해 배석했다.

권 부총리의 배석은 이번 회담에서 남북경협의 확대를 통한 경제공동체 건설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위해 이뤄진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북핵문제와 군사적 긴장완화 등 포괄적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며 원활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두 정상간 `독대'가 이뤄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노 대통령은 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한반도 비핵화를 거듭 촉구하고 마지막 냉전지대로 남아있는 서해 북방한계선(nll)과 비무장지대(dmz)를 `평화벨트'로 엮는 방안을 제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정상은 또 개성공단과 경의선 철도, 금강산 관광지역 등 3대 경협사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남북경협 활성화를 통한 경제공동체 구성을 위해 해주와 남포 등에 제2의 공단을 조성하거나 특구를 개발하는 방안도 협의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민족화해를 위해 이산가족 상봉과 납북자ㆍ국군포로 문제도 거론하는 한편 남북정상회담 정례화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두 정상은 이날 두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을 통해 공동 합의를 이끌어낼 경우 밤 늦게 평화선언 형식의 `10.3 공동선언'과 함께 세부 합의사항에 서명하는 행사를 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회담을 마친 뒤 대동강 능라도 5.1 경기장에서 열리는 아리랑공연을 관람하는 데 이어 인민문화궁전에서 북측 인사들을 위한 답례만찬을 베풀 예정이며 이 자리에는 김 위원장이 직접 참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