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을 성취하려는 사람은 실패를 피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 실패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관리하느냐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실패를 배우지 않고 실패를 통해 배우라. 실패를 배우면서 실패를 모델로 삼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나 실패에서 배우는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이다. 실패는 교육의 기회이다. 우리는 성공보다는 실패를 통해서 배우는 것이 더 많다. 벤자민 프랭클린은 "고통은 교훈을 준다."고 했다. 실패를 유익한 경험으로 받아들이라. 인생은 운동 경기와 같다. 시합은 계속된다. 한 번 시합에 졌다고 해서 인생이 끝난 것이 아니다. 포기하지 않는 한 기회는 또 찾아온다. 중국의 어느 현인은 "가장 큰 명예는 한 번도 넘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라 넘어질 때마다 다시 일어나는 것이다."라고 했다. 즉, 우리가 진정으로 성공한다는 것은 여러 번의 작은 성공을 거쳐 큰 성공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패를 했을 때 재도전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것이다. 실패는 정지 표시가 아니다. 멈추라는 사인이 아니라 우리에게 더 많은 지혜와 지식이 필요하며, 더 현명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사인이다. 실패했을 때 잠시 멈추어 생각하고, 방향을 수정하고 전략을 다시 세우라. 헬렌 켈러는 "문이 하나 닫히면 다른 문이 열리기 마련이다. 그어나 너무 자주 우리는 닫힌 문을 오래도록 후회하면서 쳐다보며 아쉬워한다. 우리 앞에 다른 문이 하나 열려 있는 것도 모른채..."라는 말을 한다.실패를 극복하려면 환경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꿔야 한다.
실패를 통해 자신의 실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인생에서 실패 자체를 두려워하기보다는, 오히려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은 것을 두려워하라. 완벽하지 않아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회기 있을 때마다 최선을 다하며, 부족하지만 모든 일에 항상 탁월함을 고집하며 시도하라. 열매는 움직이는 만큼 풍성하게 따라 온다는 것을 믿고, 깊이 숙고한 후 과감하게 행동하라.
바꿀 수 없는 과거의 실패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바꿀 수 있는 미래에 초점을 맞추며 도전하라. 할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할 수 있는 일을 하라. 해야 하는 일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라. 비전은 행동을 통해서만 성취된다.
실패를 통해 더욱 성숙한 사람, 지혜로운 사람이 되라. 그리고 그 경험으로 실패 가운데 있는 사람들의 인생 코치가 되라.
/전미영 2M 인재개발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