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재테크 방식도 다르다

이승일 韓銀 부총재 본인·부인 명의 6곳 예치
윤용로 금융감독위 부위원장 3곳에 나눠 예금
은행 정기예금 보다 금리 높고 위험 분산 효과

▲이승일 부총재
전문가들은 재테크 방식도 달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1일 공개한 공직자 재산변동 내역을 분석한 결과 금융부문 공직자들의 재테크는 주로 금융기관을 이용해 부동산 투자 비중이 높은 일부 타 부처 공직자들과 달랐다. 그것도 저축은행을 많이 이용했다.

이승일 한국은행 부총재는 총 18억원을 금융기관에 맡겼고 그 가운데 6억2000여만원을 상호저축은행 6∼7곳에 본인과 부인 명의로 4600만~ 4800만원씩 분산 투자했다.

정홍식 전 주택금융공사 사장도 본인과 부인 명의로 10여개 저축은행에 각 4700만원 정도씩 나눠 예금했다.

윤용로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은 1억7500여만원을 저축은행 3곳에 분산 예치했다.

금융전문가들이 왜 그렇게 저축은행을 선호할까. 물론 금리 때문이다.

▲윤용로 부위원장
정기예금 1년제 금리를 보면 3일 현재 하나은행의 고단위플러스예금이 최고금리기준 5.1%(1억원 이상 예치시)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군산의 전북저축은행이 5.8%를 지급하고 있고 충청권에서는 연기 한주저축은행이 5.7%를 지급하고 있다.
진천의 중부저축은행과 서산 서일저축은행이 5.5%, 대전의 대전저축은행 5.4%, 청주의 청주저축은행은 5.35%를 지급하고 있다.

예금이자로 생활비를 충당하는 퇴직자들의 경우 0.7%(하나은행의 고단위플러스예금과 군산 전북저축은행의 금리 차이)는 적은 금액이 아니다. 3억원을 1년간 맡길 경우 연간 210만원이나 된다. 은행권의 일반적인 정기예금과 비교하면 그 차이는 훨씬 더 크다.

그럼 저축은행은 어떤 곳이든 관계없을까. 그렇지 않다. 물론원리금을 합해 최고 5000만원까지는 저축은행이 문을 닫아도 보장이 된다.

그러나 이 경우 6개월 이상을 인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자도 영업 정지 기간에는 처음 약속했던 이자를 받지 못할 가능성도 높다. 물론 영업정지 전 까지는 약정금리를 지급한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은 bis 비율로 알 수 있다. bis 비율은 상호저축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하고 있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보다 안전한 저축은행을 골라 투자할 수 있다.

또 하나 주의할 점은 1개의 저축은행에 본인과 부인, 자녀명의 등으로 분산 투자할 경우 저축은행에서 지급하는 이자를 매월 방문해 찾기가 번거로워 본인명의 통장으로 일괄해 이체 받는 경우에는 나중에 보호받지 못할 수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보다 안전하게 운용하려면 다소 번거로워도 예금주별로 이체 받는 계좌를 달리하는 수고가 필요하다. 또 인감이나 비밀번호도 예금주별로 달리함이 안전하다.

요즘은 인터넷시대, 손품을 팔면 더 높은 금리의 안전한 저축은행을 골라 예금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