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와 사회구조가 복잡해지고 물질만능과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이웃이나 사회를 위한 배려 보다는 자신의 만족이나 안위만을 우선 추구하는 그릇된 가치관의 물결이 소용돌이 치면서 많은 청소년들이 자기를 낳아 주시고 키워주신 부모님의 은혜를 망각하고 주변 어르신들에 대한 관심과 존경을 외면 하므로써 그들의 가슴을 시리게 하고 있는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청소년의 달이자 가정의 달 5월, 산과 나무들이 초록빛 옷으로 말끔이 갈아입고 나름대로의 자태를 뽐내는 즈음, 우리 모두는 형식적이고 의례적인 행사나 일회성 구호를 지양하고 그들에게 진정한 효의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그들 또한 어떻게 하는것이 부모님이나 이웃 어른들에게 진정으로 효도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아울러 내리 사랑과 효가 접목되는 찬란한 계절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孝는 늙을 老에서 匕(비)자를 빼고 아들 子(자)를 붙인것으로써 자식이 부모를 떠 받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 어릴때에는 부모를 공경하고 부모님의 말씀에 따르며 부모가 늙으면 지성으로 봉양해야 하는데 요즈음 일부 청소년들은 부모가 자식 뒷바라지 하며 사랑과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 하면서도 자신들은 효를 행하겠다는 마음조차 갖고 있지 않는듯하여 씁쓸한 마음 금할길이 없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날 등이 속해있는 신록의 계절 5월을 맞이하여 사회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가족들이 모여 외식을 하며 부모님들의 가슴에 카네이션 꽃을 달아 드리는 등 부모님과 이웃 어르신들을 잠시나마 즐겁게 해 드리는것도 물론 중요하다 할 수 있으나 나이가 들어 늙으면서 가장 힘들고 고통스러운 것은 빈곤과 질병 그리고 아무것도 할 일 없고 갈곳이 없는 무위(無爲)와 고독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고독으로 인한 심적 갈등이 가장 큰 것임에 부모님 그리고 이웃 어르신들의 이러한 빈 공간을 자녀들이 영속적으로 채워 드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생활화 하는것이 부모님이나 이웃 어르신들에 대한 진정한 효가 아닌가 싶다.

아울러 세상 모든 부모들은 자녀들이 올곧은 마음을 가지고 정도의 길을 걸어가며 사회가 요구하는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하여 주길 바라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강태공(姜太公)은 부모에게 효도하면 그 자식이 역시 효도할 것이며 자신이 불효 하였다면 어찌 그 자식이 효도를 하겠는가? 부모에게 효도하면 효성스런 자식을 얻고 부모에게 불효하면 불효하는 자식을 얻는다고 했다.

청소년의달, 가정의달을 맞이하여 자녀들에게 효만을 요구하며 사랑과 관심 그리고 배려는 소홀하지 않았는가? 자녀들은 부모님과 이웃 어르신들을 위하여 얼마나 진정한 효의 길을 가고 있는가를 우리 모두는 한번쯤 깊이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민병윤 세계도덕재무장(MRA/IC)충북본부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