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학습은 하나의 이론으로 자리매김을 하게 된다. 학습이론도 시대적 흐름에 따라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로, 인지주의에서 구성주의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인간의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으로 이루어진다는 관점이다.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으로 발생하며 행동은 반응을 요소로 하여 결정되는 복합체로 여긴다. 인간의 습관이나 성격도 사회적 조건 부여에 의해 좌우되며 조건화 이론, 연합 이론, 수정 행동주의 등이 해당한다.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능동적인 사고 과정과 인지 구조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학습은 동화와 조절로 이루어지며 학습자의 인지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인식한다. 인지주의 견해에서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며 정보의 발견이나 단순한 기억보다는 정보의 구성을 강조하며 정보처리 이론과 스키마 이론 등이 해당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과정을 구성하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아래에서는 행동주의나 인지주의 학습이론을 전통적 학습이론으로 보고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대조해 보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은 부분에서 전체로 순서를 정하고 기초를 중시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반대로 전체에서 부분으로 순서를 정하고 큰 개념에 초점을 둔다.
둘째, 학습 내용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은 고정된 학습과정을 준수해야 한다고 여긴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학생들의 질문에 큰 의미를 둔다.
셋째, 교수-학습 자료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의 학습 활동은 주로 교과서에 의존하는 편이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학습 활동은 교과서분만 아니라 다양한 학습 활동 자료를 활용한다.
넷째, 학생들을 보는 관점에서전통적 학습이론은 학생들을 백지로 보고 어떤 그림을 그리는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여긴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는 학생들의 생각을 중시하고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본다.
다섯째, 교사의 역할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충실한 강의자이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는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며 그들과 상호소통하는 존재이다.
여섯째, 교사의 강조점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정확한 답을 요구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교사는 학생들이 획득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관점에 관심을 갖는다.
일곱째, 평가에서 전통적 학습이론은 가르침과 평가를 분리된 개념으로 여기고 시험으로만 올바른 측정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는 학생들에 대한 평가와 교사들의 가르침은 서로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학생들의 전시, 발표, 포토 폴리오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전통적 학습이론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는 돌아가고 있듯이 하늘 아래 고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학교 현장 또한 시대적 흐름을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교수-학습이론뿐만 아니라 생활지도 영역이나 성취평가 부분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의 전환과 각고의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김재국 세광중교사·문학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