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에 관련기관 가동 속 대전 공모사업 따내
전자정보부품 소재 산업 육성을 위한 대전과 충북의 과잉경쟁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는 23일 산업자원부의 지역산업진흥사업 지역공모사업에 '정보전자부품소재 기술혁신센터 구축사업'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특화센터는 kaist 나노팹종합지원센터내 여유 공간에 들어설 예정으로 올 10월 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111억이 투입된다.
시는 4대전략 산업가운데 하나인 첨단부품및 소재 산업육성을 위해 이 사업을 추진했으며 기업간 정보공유나 기술제휴를 위한 구심체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역여건을 고려치 않은채 중복투자의 우를 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충북 오창과학단지내에 지난 2003년부터 500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된 '전자정보부품산업지원센터'와 '반도체장비및 부품공동테스트 센터'가 가동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산자부는 오창의 경우 5년전 '9개지역 산업발전사업' 차원에서 추진됐고 대전은 올해 '지역혁신산업기반구축 사업'으로 추진된 것으로 세부내용을 보면 결코 중복투자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산업자원부 지역산업팀 관계자는 "양 지역의 사업명칭이 유사하지만 대전은 나노관련 신기술과 신소재 위주의 사업으로 오창과 성격이 다소 다르다"면서 "3번에 걸친 평가를 통해 중복성을 철저히 검증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양 지역의 사업모두 산자부 지역산업팀에서 추진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오창지역의 사업내용을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등 오창과 대전의 차별화에 대해서는 명쾌한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
한편 오창의 두 특화센터는 센터건립과 장비확보를 위해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적자운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처지다.
이 특화센터들은 당초 설립 5년뒤 자립경영을 원칙으로 세웠지만 충청권의 미미한 시장여건으로 인해 자립경영이 요원한 상태다.
전자정보부품 소재나 반도체 관련 기업이 대부분 수도권 지역에 편중돼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직원들은 운영비라도 건지기 위해 수도권 지역으로까지 빈번히 방문해 it기업을 대상으로 영업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산자부와 충북도는 이들 특화센터의 자립경영을 강조하면서도 적자경영 상황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묵인하고 있는 상태다.
대전에 설립되는 특화센터 역시 향후 운영이 결코 녹록치 않을 것임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충북 반도체장비 및 부품공동테스트 센터 관계자는 이와 관련 "산자부 예산이 뻔한데다가 대전도 충청권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할 수 밖에없어 충북도로서는 손해를 볼 수 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산자부에서 지자체간 사업이 중복되지 않도록 감독하고 있다"면서 "대전은 나노산업과 관련된 분야로 특화시켜 충북과의 중복성을 피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조명휘 기자 joem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