杯盤狼藉 배반낭자

杯 잔 배:잔, 그릇

盤 소반 반:소반, 밑받침

狼 이리 낭:이리, 어수선하다

藉 깔개 자:깔개, 깔다

풀이-술잔과 안주접시가 이리저리 뒤섞여 있다는 뜻으로 술잔치가 절정에 오르면 그 자리가 난잡해지는 것을 말한다.

유래- 전국시대 제나라 위왕 때, 순우곤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제나라가 초나라 공격을 받게 되어 조나라로 원병을 청하러 사신으로 가서 10만 정병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초는 제의 침공을 포기하였다. 그래서 제나라는 축하연을 베풀었다. 그때, 왕은 곤에게 물었다. "그대는 얼마를 마시면 취하는가?" 곤은 이렇게 답했다. "한 되 술을 마셔도 취하고 한 말을 마셔도 취합니다." 이 애매한 말에 왕은 설명을 재촉했다. "만일 제가 술을 왕에게 받는데 주위에 법 집행관과 재판관이 있다면, 한 되도 못 마시고 취하게 됩니다. 또 근엄한 제 친척과 마시면 몸을 바로 하여 자주 잔을 올리게 되므로 두 되도 못 마시고 취합니다. 그리고 오랫만에 친구와 만나 마시면 대여섯 되면 취할 겁니다." 곤의 이야기는 점점 열을 올리며 이어졌다. "만약 남녀가 함께 놀이를 하면서 술을 마시면 여덟 되쯤 마시고 취기가 오릅니다. 그러다 날이 저물어 자리가 절정에 올라 남녀가 무릎을 맞대고 신발은 흩어지고 배반낭자(杯盤狼藉)가 되고 집안의 등불은 꺼지고 여인의 엷은 비단옷 가슴 깃이 풀어지고 은근한 체취가 풍기면 나는 그만 하늘에라도 오른 듯이 한 말의 술을 마실 겁니다." 이렇게 주색을 좋아하는 왕을 기쁘게 하고는 교묘하게 간언을 하는 것이었다. "술이 극에 달하면 어지러워지고 즐거움이 극도로 달하면 슬퍼집니다. 무엇이던 극에 달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면 나라가 쇠약해집니다." 이로부터 왕은 철야의 향연을 그만두고 곤을 제후의 주객으로 삼아 연회에는 반드시 자신의 옆에 않게 했다. 물극필반(物極必返:사물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되돌아온다)이라 했다. 칠흑같이 어두운 밤을 지나 밝은 날이 오듯 이 무더운 여름 매미울음이 극에 달했으니 찬 기운이 오려고 귀뚜라미가 운다.<시인·전북대 출강>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