囊中之錐 낭중지추

囊 주머니 낭:주머니

中 가운데 중:가운데

之 갈 지:가다, ∼의

錐 송곳 추:송곳

풀이-주머니 속의 송곳은 끝이 뾰족하여 주머니를 뚫고 나오는 것처럼 재주와 역량이 있는 사람은 무리 속에 섞여 있을지라도 눈에 띄게 된다는 말이다.

유래- 전국시대, 조나라 재상 평원군은 수백 명의 식객을 거느리고 있었다. 진나라가 조나라를 쳐들어 왔을 때, 평원군은 왕명을 받들어 초나라로 구원병을 요청하러 떠나게 되었다. 그는 식객 중에 문무에 뛰어난 20명을 뽑아 함께 가기로 했다. 그런데 19명까지 뽑고는 나머지 한 명을 뽑지 못하고 있었다. 이때, 모수(毛遂)라는 사람이 자기를 뽑아 데려가 달라고 했다. 그러자 평원군은 이렇게 말했다. "쓸모 있는 사람이란 송곳이 주머니 안에 있어도 날카로운 끝이 드러나는(錐之處囊中 其末立見) 것처럼 눈에 띄게 마련이지. 그런데 그대는 내 집에 온지 3년이 되었는데도 눈에 띈 일이 없지 않소?" 그러자 모수가 대답했다. "그것은 평원군께서 저를 주머니에 넣어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넣어만 주시면 송곳의 날카로운 끝뿐만 아니라 자루까지 내보이겠습니다." 마침내 모수와 함께 가기로 했다. 19명은 서로 모수를 비웃었지만 초나라에 가는 동안 모수는 그들과 이야기를 나눈 끝에 결국 모두를 복종시키고야 말았다. 평원군은 마침내 모수의 힘에 결정적인 도움을 얻어 초나라 왕을 설득할 수 있었다. 이 일로 평원군은 모수를 상객으로 대접했고 다시는 인물을 함부로 평가하지 않겠다고 맹세의 말을 하였다고 한다. 예전부터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 겸손한 태도로 사람을 대하는 일은 훌륭한 미덕이자 실천하기 어려운 양면을 가지고 있다. 한 번 보고 인재인지 아닌지 가늠하는 것은 지도자로서는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인재를 선택하는 시대의 기준과 경험이 필요하니 이에 부응하여 관상학이 탄생한 것이다. 그런데 사람을 보는 방법에 관상학보다도 더 깊이 볼 일이 마음을 보는 심학이다.
<시인·우송대 외래교수>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