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운동은 국내 현대사에서 경제 개발 논리에 따라 통제돼 온 것이 사실이다.

민주화 과정에서 억압된 노동자들의 불만은 봇물처럼 터져나왔고 사회적 분위기와 맞물려 호응을 얻었던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정치 상황이 변화되면서 노동자들의 권익 주장이 점차 시민들의 피부에까지 와닿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이번 철도 노조의 파업도 그런 측면에서 씁쓸함을 던져주고 있다.

철도노조의 최장기 파업은 노동사에서도 기록될 만한 일이 됐다.

민영화의 시작이라는 주장을 내세운 철도노조 파업은 관련 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단양과 제천 등지의 시멘트 업계는 비상이 걸려 생산 라인을 중단할 위기에까지 몰렸다.

시민들은 출퇴근 길 불편을 겪으며 왠지 동조하지 못하는 기류가 팽배해졌다.

연말과 연시 관광열차를 중단할 수밖에 없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더욱 그랬다.

여기에 '귀족노조'라는 용어까지 등장해 철도노조의 파업에 대해 다소 비판적 시각도 제기됐다.

철도노조 파업 사태는 경찰의 민주노총 사무실 진입으로 정권 퇴진 운동으로 번지고 말았다.

민주노총은 향후 운동 방향을 정권 퇴진으로 선회하고 노사정위원회, 지방노동위원회 등에 불참을 선언했다.

사회 분위기와는 별개로 노동계와 정부가 정면으로 대치하는 사태로 확산된 것이다.

철도 노조 파업 사태는 결국 한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될 큰 사건이 돼 버렸다.

다행히 여야 정치권이 철도노조 지도부와 국회에 철도발전소위원회를 구성하는 조건으로 파업 철회가 결정됐다.

국회 국토교통위 산하에 철도산업발전 등 현안을 다룰 철도산업발전소위원회를 여야 동수로 설치하고, 소위원장은 새누리당이 맡기로 하면서다.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한가지 중요한 교훈을 찾아볼 수 있다고 본다.

유신시대, 민주화 운동 시절의 노동운동과 현재의 노동 운동에 대한 국민들의 시선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철도노조 파업에 대한 정당성 시비가 팽배했지만 이론가들의 논리 싸움에 더 나아가지 못해 보였다.

실질적으로 대다수 국민들이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지지할 수 있는 분명한 이유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해 동조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는 여론이 많다.

따라서 향후 노동운동 방향이 국민들에게 '이기적인 행동'으로 오해를 받아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전철을 밟지 않기를 조심스럽게 바란본다.

노동운동은 그래서 가족을 위해, 기업을 위해 나아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 전달이 선행될 때 그 외침을 외면할 사람이 없게 될 것이다.



/이정규 경제부장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