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이후 중단됐던 이산가족 상봉을 오는 20∼25일까지 재기하기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합의했다. 이번 성과는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남북한 관계 개선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하겠다. 세계인권선언에 인간은 거주이전의 자유가 있고 고향으로 돌아갈 권리가 있음이 명시돼 있다. 이런 권리는 정치적 이유로 차별돼서는 안 되며 모든 사람이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1000만 명이나 되는 이산가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믿기가 어렵다. 남북한이 이산가족 문제를 처음으로 언급한 때는 1971년이다. 당시 대한적십자사는 최초로 이산가족 논의를 시도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주지하듯 1983년 KBS가 '일천만 이산가족 상봉 캠페인'을 진행해 전 국민의 전폭적 관심을 끌었다. 그러나 북한이 참여하지 않고 남한만의 행사로 진행된 관계로 반쪽 행사에 불과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실질적으로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 시기는 2000년 평양에서 치러진 남북정상회담 이후이다.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6·15남북공동선언문'에 이산가족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명시한 것을 계기로 수차례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졌다.

즉, 2000년 8월 15∼18일 1차 상봉을 시작으로 2010년 10월 30일∼11월 5일 18차 상봉까지 진행된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이산가족 상봉 방식은 인원 수 뿐 아니라 시공간적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때문에 정부 주도 이산가족 상봉보다는 만간 주도 상봉을 고려할 만하다. 아울러 일시적 이산가족 상봉보다는 상시로 만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금강산 일대를 이산가족 면회 장소로 상시 개방해 수시로 상봉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된다.

그렇지만 이런 방안들이 남북통일보다 바람직하진 않다. 남북통일로 이산가족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안인 것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통일은 이산가족 문제를 완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존과 안전을 위해서도 절실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는 여전히 휴전선을 경계로 100만 명 이상의 군인들이 동족에게 총부리를 겨누고 있다.

우리는 통일을 계기로 군사적 긴장과 전쟁 재발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렇게 될 때만 진정한 복지국가를 건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참다운 평화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의 평화적 통일은 인적·물적 자원을 통일한국의 발전과 번영에 투입해 복지국가 건설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러할 때 장기적으로 세계 5위권의 국가경쟁력을 가지게 된다는 예상도 없지 않다. 결국 통일한국은 동북아 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와 안전에도 기여한다. 통일한국이 되면 지구상에는 같은 민족으로 분단된 국가는 모두 사라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지구상에는 냉전의 시대는 가고 진정한 화해와 평화의 시대가 도래해 우리는 그야말로 통일 대박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김재국 청주 세광중 교사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