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동의보감>예올 한의원 박성규 원장
지난주 입춘(立春)이 지났으니 이제 봄이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한 해의 시작이다. 음력으로 한 해의 시작은 설날인 반면 양력으로 한 해의 시작은 입춘이다. 지난 수요일이 설날이었으니 명실상부하게 무자(戊子)년이 시작되었다. 설날은 사대명절에 꼽힐 만큼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한 해의 실질적인 시작은 입춘이다. 따라서 사주를 볼 때도 입춘을 기준으로 연주(年柱)를 정한다. 24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입춘은 양력으로 매년 2월 4일이다. 우리 조상들은 달의 삭망주기를 사용하여 조수간만과 인체변화를 예측하였고 이와 더불어 태양력의 일종인 24절기를 사용하여 계절의 성쇠와 농사시기를 예측하였다. 즉, 음력과 양력을 모두 사용하여 자연의 변화를 정확하고 합리적으로 예측하였다.
입춘에서 우수(雨水)까지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나누어 날씨변화를 설명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동풍이 불어 언 땅을 녹이고, 중후(中候)에는 겨울잠을 자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다니며 급기야 우수가 되면 대동강물도 풀린다고 하였다. 입춘 전날을 절분(節分) 혹은 '해넘이'라고 부르며 이날 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하였다.
입춘은 24절기의 시작이고 양력으로 한 해의 시작이므로 우리 조상들은 집안 곳곳에 겨우내 찌든 때를 청소하고 새롭게 단장하여 봄을 맞이하였다. 봄을 발진(發陳)이라고도 하는데 바로 겨우내 묵은 때나 껍질을 떨치고 일어남을 의미한다. 입춘을 맞이하여 입춘방를 써 붙이는 것도 중요한 행사였다. 대궐에서는 신하들이 지은 춘첩자(春帖子)를 붙이고, 민간에서는 춘련(春聯)을 붙였다. 손수 새로운 글귀를 짓거나 옛사람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춘련을 써서 봄을 축하하는데 이것을 춘축(春祝)이라 한다. 댓구를 맞추어 두 구절씩 쓴 춘련은 대련(對聯)이라 부르는데 집안의 기둥이나 대문, 문설주 등에 두루 붙였다.
대련에 가장 많이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입춘을 맞아 크게 길하고, 새해에는 경사스런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이었고 그 외에도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바랍니다.'와 '소지황금출 개문만복래(掃地黃金出 開門萬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 등이 있다. 모두 새해를 맞이하여 복을 기원하고 봄맞이 대청소를 하여 집안을 단장하기 위함이다. 조선 때 천문, 지리, 측후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觀象監)에서는 붉은 물감으로 귀신을 쫓는 글인 '신다울루(神茶鬱壘)'를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두었다. 신다와 울루, 이 두 신은 귀신들이 다니는 문의 양쪽에 서서 모든 귀신을 검열하는데 남을 해치는 귀신이 있으면, 갈대로 꼰 새끼로 묶어 호랑이에게 먹인다고 믿었다.
『동의보감』에서는 봄을 맞이하여 양생하는 법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봄철 석 달을 발진(發陳)이라고 하는데 천지가 모두 생겨나고 만물이 자라난다. 이때는 잠자리에 늦게 들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며 천천히 뜰을 거닐고 머리를 풀고 몸을 편안하게 하여 마음을 생동하게 한다. 무엇이든 살려야지 죽여서는 안 되고, 주어야지 빼앗아서는 안 되고, 상을 주어야지 벌을 주어서는 안 된다. 이것은 봄기운에 호응하는 것이니 양생(養生)의 방법이다.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간(肝)을 상하고 여름에 추운 병이 들어 자라나는 힘이 적어진다.'
봄은 겨우내 묵은 껍질을 벗고 모든 것이 생겨나고 자라나는 계절이므로 사람도 그러하다. 겨우내 움츠렸던 신체 활동이 서서히 활력을 찾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계절이므로 활짝 펴고 자라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한다. 주위 사람들에게 덕담만하고 꾸짖지 말아야할 계절이기도 하며 행여 자라는 기운이 손상될까 조심해야 한다. 자라나는 어린이는 인생 전체로 보아 봄과 같으므로 봄날 양생하듯이 키우는 것이 좋다.
봄이 되면 서서히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동산에도 오르고 산책도 자주하고 이웃과의 왕래도 자주 하는 것이 좋다. 겨우내 쉬었던 운동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좋다. 계절이 바뀌었으므로 잠자리는 조금 늦게 들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도록 한다. 떠오르는 태양의 기운을 받아야하는 계절이므로 머리는 동쪽으로 두고 잔다. 봄이 되면 생동하는 기운이 필요하므로 봄에 나는 제철음식을 먹는 것이 가장 좋다. 달래, 냉이, 씀바귀 등 봄철음식은 입맛을 돋우고 기운을 돋아준다. 봄철에 자주 피로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은 대부분 위로 오르는 기운이 부족하거나 겨우내 무리하였거나 간병으로 인한 것이니 한방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보리 연자 갔다가 얼어 죽었다'는 말은 입춘이 지나도 추위는 물러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특히 올해는 봄추위가 춘분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얼음도 자주 얼고 눈도 자주 내릴 것이니 봄맞이는 하되 추위에 대한 대비도 함께 하여 춘분까지는 겨울옷을 입고 지내는 것이 좋다. 바로 봄옷을 꺼내 입었다가는 한사에 상하여 큰 병에 걸릴 수 있다.
예올 한의원 박성규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