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시각> 김동민 경제부장
청주산업단지 내 에이치앤티(h&t)의 주가조작 논란과 관련된 검찰 수사와 관련, 통합민주당이 '야당 길들이기', '야당 탄압 의혹' 등을 주장하고 있다. h&t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된 검찰 수사가 정치 쟁점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통합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 "총선이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야당 당선자에 대해 압수수색을 하고 조사하는 것은 야당 탄압과 야당 길들이기라는 정권의 의도가 게재된 것 아닌가 하는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전제한 뒤 "본인에게 확인한 바로는 금융감독원이 이미 무혐의 처분한 사안이고 100% 해명이 가능해 끝난 일이라고 한다"며 검찰 수사의 부당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통합민주당 내부에서는 수사 과정에서 정국교 당선자의 비위 혐의가 드러날 경우 비리자를 공천했다는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며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비례대표 공천 단계에서 이 문제가 불거졌지만 본인 해명만 듣고 넘어간 측면이 있고 본인은 해명이 가능한 사안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솔직히 곤혹스럽다는 얘기로 풀이된다. 또 정 당선자가 손학규 대표와 절친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검찰이 손 대표를 표적으로 삼은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 11월부터 주가조작 의혹을 잇따라 제기한 충청일보는 이번 사건이 정치쟁점화되지 않고 명확한 진실규명이 이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우선 외환위기로 힘들었던 시기에 400여명의 직원들과 함께 '혼연일체'로 종업원 지주회사를 만들어 오늘의 h&t로 성장시킨 정국교 전 사장의 피나는 노력과 열정에 큰 박수를 보낸다.
그리고 부도와 재기를 거친 뒤 짧은 시간내에 국내 굴지의 상장업체로 성장시킨 임직원들의 노력과 경영진의 뛰어난 사업수완에도 높은 점수를 매길 수 있다. 그러나 태양광 소재인 우즈베키스탄 규소광산 개발협약(mou)과 개발무산 등을 거치면서 전국의 소액투자자들이 받은 손해와 정신적 피해를 생각하면 h&t의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진실규명은 반드시 필요하다.
노무현대통령과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은 지난 2006년 3월 29일 정상회담을 갖고 에너지·광물자원 공동 개발에 합의했다. 당시 2004년 대통령직속 중소기업특별위원회 대·중소기업 협력분과위원회 위원, 2005년 산업자원부 정책 평가위원, 2006년 한국무역협회 이사 등을 맡고 있었던 정 당선자는 정상회담 3개월 뒤인 2006년 6월 30일 h&t를 코스닥에 상장시켰다. 이후 1년도 되지 않은 2007년 4월 19일 우즈베키스탄과 규소광산 개발협약을 맺게 된다.
컴퓨터 주변기기를 생산하던 h&t는 짧은 경륜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간 정상회담의 결과물로 얻어진 광물자원 개발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우즈벡 광물자원 개발사업은 그러나 6개월만에 무산됐고, 이 과정에서 수 많은 '개미투자자'들 중 일부는 한강에 뛰어들고 싶을 정도의 상실감을 맛보았다고 한다.
h&t 주가조작 논란은 지난해 개발무산 공시 후 충청일보를 비롯한 수 많은 언론이 다루었던 내용이다. 또 금융감독원도 3개월에 걸친 전방위적인 조사를 벌인 사안이다.
때문에 검찰의 수사착수를 '야당탄압'이라고 주장하는 논리는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오히려 주가조작 논란에 휩쌓인 사실을 알고도 정 당선자를 비례대표 6번으로 공천한 민주당의 공천심사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여론이 더 옳은 지적이다.
정 당선자가 스스로 "검찰수사에 정치적 의도가 없다고 생각하며 금감원 조사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확인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듯이 철저한 진실규명만이 h&t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생각된다.
/김동민 경제부장

